S N O W P I E R C E R
설 국 열 차
설 국 열 차
Issue!
엇갈린 평을 받는다는 건 참 굉장한 거다. 모두들 당연히 다른 생각을 하고 살지만 굳이 그걸 드러내서 의견을 주고받을 만큼의 가치가 있다는 거 아닌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난 꽤 재미있게 봤다.
SF/환타지 장르는, 그 세계를 구축하는 데 있어 훨씬 더 논리적이어야 한다더라. 규칙, 그리고 그를 설명할 수 있는 이성적인 이유, 뭐든 가능해서 더 자유로워 보이지만 실은, 작가가 그만큼 더 계산적이어야 한다는 것. 그렇지만 감독은 봉테일님. 그가 여기저기 테일러링 해두었을 디테일들 찾는 재미가 쏠쏠했는데, 그만큼 의문점도 많이 생겼다. 원작 만화를 읽지 않은 입장이라 어디까지가 누구의 생각인지 모르겠지만, 재미있었던 점들과 궁금한 점들을 나눠보고 싶다.
*스포일러 있어요*
It's a small world, after all
어떤 무한(?) 동력으로 인해 17년째 돌고 돌고 돌고 있는, 멈추지 않는 작은 지구. 그 안에는 아주 밑바닥부터 아주 부유한 이들까지, 권력의 정도에 따라 등급이 나뉘어 칸에 탑승해서 살고 있다. 그 권력은 탑승시 구매한 티켓가에 의해 나눠진 것인데, 이들이 사실 원래 어떤 삶을 살고 있었는지는 중요하지 않아 보인다. 보스턴 오케스트라 수석 바이올리니스트라도 처음에 꼴등칸에 올라탔다면 꼴등칸 사람인 거니까. (그렇지만 예술적 재능을 가진 자는 금방 일등칸의 삶을 누릴 수 있게 된다! 하! )
꼴등칸의 사람들은 흑인에서부터 동양인 등 다양한 인종이 어우러져 살고 있다. 그런데 주인공들이 앞칸으로 나아갈 수록, 인구의 다양성은 사라지고 백인 위주로 구성된 일등칸 승객들이 보이는데, 이것도 의도적인 거겠지.
Integral Violence
그 기차의 질서를 유지하는 실질적인 '군인'들은 영어로 상명하달을 받지만, 가끔 일본어로 의사소통을 하더라. 또 그 밑에서 피튀기며 싸우는 자들은 복면을 했고. 개인적으로 받은 느낌일지는 몰라도 복면군단은 테러리스트, 아랍, 러시아가 떠올라서 섬뜩했다. 전쟁의 주범들이잖아. 전쟁으로 '질서를 유지'한다는 걸까. 세상에는 전쟁이, 불가결하다는걸까.
In the name of the Belief
It's a small world, after all
어떤 무한(?) 동력으로 인해 17년째 돌고 돌고 돌고 있는, 멈추지 않는 작은 지구. 그 안에는 아주 밑바닥부터 아주 부유한 이들까지, 권력의 정도에 따라 등급이 나뉘어 칸에 탑승해서 살고 있다. 그 권력은 탑승시 구매한 티켓가에 의해 나눠진 것인데, 이들이 사실 원래 어떤 삶을 살고 있었는지는 중요하지 않아 보인다. 보스턴 오케스트라 수석 바이올리니스트라도 처음에 꼴등칸에 올라탔다면 꼴등칸 사람인 거니까. (그렇지만 예술적 재능을 가진 자는 금방 일등칸의 삶을 누릴 수 있게 된다! 하! )
꼴등칸의 사람들은 흑인에서부터 동양인 등 다양한 인종이 어우러져 살고 있다. 그런데 주인공들이 앞칸으로 나아갈 수록, 인구의 다양성은 사라지고 백인 위주로 구성된 일등칸 승객들이 보이는데, 이것도 의도적인 거겠지.
Integral Violence
그 기차의 질서를 유지하는 실질적인 '군인'들은 영어로 상명하달을 받지만, 가끔 일본어로 의사소통을 하더라. 또 그 밑에서 피튀기며 싸우는 자들은 복면을 했고. 개인적으로 받은 느낌일지는 몰라도 복면군단은 테러리스트, 아랍, 러시아가 떠올라서 섬뜩했다. 전쟁의 주범들이잖아. 전쟁으로 '질서를 유지'한다는 걸까. 세상에는 전쟁이, 불가결하다는걸까.
In the name of the Belief
자신의 팔과 다리를 식량으로 내놓는 사람을, 어느 누가 믿고 따르지 않을 수 있을까. 문제는, 이 인물도 인간이고, 이를 따르는 자들도 인간이라는 거. 무엇이 옳은 것이고 무엇이 그른 것인지, 내가 왜 이런 행동을 하는지, 한번 더 생각해봐도 모자란다. 그 생각이라는 게, 언제 어떻게 바뀔지 모르거든. 그리고, 생각보다 쉽게 바뀌지 않거든.
영화가 끝나고 나니, 나부끼는 붉은 십자가 그려진 깃발과, 온 몸에 폭탄을 두른 여인, 딸을 죽이는 아버지, 집단 자살한 미국의 한 마을, 전기고문을 받는 동성애자들이 떠올랐다.
I want YOU
윌포드가 붉은 쪽지를 보낸 자란다. 그는 대체 왜 자신의 후계자를 꼬리칸 사람중에서 골랐을까?
앞칸 사람들은 워낙 그렇게 부족함 없이 자랐던 사람들이다. 그들은 꼬리칸 사람들을 본 적도 없고, 존재를 잊고 산다. 하지만 '기차'가 제대로 돌아가기 위해 꼬리칸 사람들은 필수다. 앞칸 사람들이 '희생'을 할 수는 없으니까. 기차가 잘 돌아가려면, 꼬리칸 사람들을 항상 자기들 밑에 두고 질서를 유지해야 하는데, 커티스가 그러기에 적격이라 판단했을까? 이미 길리엄의 '선행'으로 인해 개과천선한 인물인데?
사실, 난 윌포드가 그냥 심심해서 그랬을 거 같기도 하다. 기차세계의 '신'으로써 신탁을 내린거지. 돌고도는 일상에 재미있는 사건 하나 만들어보려고. 뭐, 진짜로 찾아올 줄은 몰랐겠지만, 그럼 그냥 넘겨주면 그만이고. 커티스는 이 기차의 모든 칸을 다 가봤으니, '질서 유지'가 필수라는 걸 알고 있겠지. 그리고 그럴 일은 없겠지만, 만약 이자가 열받아서 앞칸 사람들을 몰살한다고 해도, 결국 기차는 다시 채워질 것이고, 칸마다 사람이 나뉘어질 거라고, 윌포드는 생각했을 것이다.
Iona
(이렇게 쓰는게 맞나 모르겠다만 다 I로 시작하게 썼으니까 헴헴..)
요나는 기차 안에서 태어난 소녀이다. '흙'이 뭔지도 모르고, '땅'을 밟아본 적도 없다. 그나마도 감옥에 갇혀 살아서, '세상'을 제대로 본 적도 없다. 그런 그녀가, 이 달리는 열차를, 돌고도는 세상을, 멈춘다. 이 끔찍한 뫼비우스의 굴레를 끊고 새로운 세상을 여는 것이 작은 소녀라니,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랑 봉감독님은 '소녀'의 무한능력에 대해 뭔가 공유하고 계신듯 하다.
영어제목이 왜 Snowpiercer인지 궁금했는데 요나(고아성)를 가리키는 말인갑다. 사전에 Piercer가 뚫는 것 말고도 '꿰뚫어 보는 눈'이라는 뜻이 있다니 말이다. ('설국열차'라니까 보지도 않은 일본 영화가 먼저 생각나버려서 조금 아쉽다. 제목이 그냥 <눈> 이었어도 좋을법 했는데...ㅎ)
Inquiries
자, 여기서부터 궁금한 점들.
봉감독님이 한국사람이니까 한국인 부녀를 '열쇠를 쥔' 인물로 설정한건 알겠는데, 기술력을 갖췄지만 서구의 권력에 매여 자유롭지 못한걸 상징하려 했을까? 이들은 기회의 손길이 오지 않았다면 계속 거기 그렇게 갇혀있었을건가? 아님 누군가 먼저 시작해서 거기 따라가다가 자기 원하는 걸 하려고 기회를 엿본걸까? 마지막 순간에 배신을 하는건 우발적이었던걸까? 7인 동상(그야말로 동상!) 을 보면, 엔진을 멈춰야만 나갈 수 있는 건 아닌 것 같은데 왜 굳이 첫 칸까지 문을 열어주며 따라갔나?
그리고 요나의 투시력이 그렇게 중요하고 놀라운 능력인데, 커티스는 왜 그리 캐쥬얼하게 '밥은 먹었니?'라고 물어보듯' 너 투시력 있니?'라 물은걸까...하긴 17년째 똑같은 궤도를 돌고 있는 기차 속 세계에선 그정도는 암것도 아닌걸까.
봉감독님이 한국사람이니까 한국인 부녀를 '열쇠를 쥔' 인물로 설정한건 알겠는데, 기술력을 갖췄지만 서구의 권력에 매여 자유롭지 못한걸 상징하려 했을까? 이들은 기회의 손길이 오지 않았다면 계속 거기 그렇게 갇혀있었을건가? 아님 누군가 먼저 시작해서 거기 따라가다가 자기 원하는 걸 하려고 기회를 엿본걸까? 마지막 순간에 배신을 하는건 우발적이었던걸까? 7인 동상(그야말로 동상!) 을 보면, 엔진을 멈춰야만 나갈 수 있는 건 아닌 것 같은데 왜 굳이 첫 칸까지 문을 열어주며 따라갔나?
그리고 요나의 투시력이 그렇게 중요하고 놀라운 능력인데, 커티스는 왜 그리 캐쥬얼하게 '밥은 먹었니?'라고 물어보듯' 너 투시력 있니?'라 물은걸까...하긴 17년째 똑같은 궤도를 돌고 있는 기차 속 세계에선 그정도는 암것도 아닌걸까.
In the End
74%를 수동으로 유지하겠다면, 언젠가는...앞칸 사람들도 통제해야 할 날이 왔을거다.
기차가 그 전에 멈춰서, 참 다행이다.
요나는, 관습에 얽매이지 않은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 갈 것이다.
'Reviews > 영화를 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샤쯔가 본 : 영화 <헬프(The Help)> (0) | 2011.11.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