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odcast has fleas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Cast
 (in the order of appearance)

Waffles the Dog

Ellie the human 

Benny the Gerbil

Jones the Cat

Ellie’s parents and friends, who are also human. 

Mr. Glup the Goldfish



From listener supported WNYC studios, it’s This Podcast has Fleas!

Episode 1: Sleepover


Waffles

Hello? Hello, hello, hello? WOW! I can hear my voice through the headphones! (barks) Hah! That’s neat. (barks again) Love that. 

Hi everybody! I’m Waffles, this is Dog Talk, a podcast by a dog. (munches) Sorry, can’t help chewing the microphone. I should stop that.    

Anyway, first episode today -so excited- I’m going to interview a gerbil and review a new squeaky toy (squeaks and gasps) and big news: later on, there’s a sleepover happening in the house and we’re going to stop in on that. But first, a segment I call ‘Rolling On My Back On The Rug, Because It’s Soft’. 

(stops speaking and rolls enthusiastically on her back on the rug)

Oooh. I hope you’re enjoying the segment as much as I am. Oooh yeah, that’s the stuff! Ah- 

(something falls down and the microphone makes a squeaky noise) 

Alright, and we are on the move. Heading downstair to talk to my friend Benny, the gerbil and find out why he likes me better than the cat who lives here. 

(toilet flushing)

Ellie

Hi Waffles. 


(Waffles pants for a while, stops and resumes to the podcast)


Waffles

That was Ellie,  she is having the sleepover party later. Fun fact: She’s the one who named me ‘Waffles’, and she also loves me more than the cat. Continuing. 

Here we are at the gerbil cage and Benny is running on his wheel. Benny, you’re on podcast. Say hello.

Benny

(panting) What’s a podcast? 


Waffles

That’s…not important. Uh, now Benny, could you tell our listeners why exactly you like me more than the cat? 


Benny

Oh Waffles, you know I stay out of this. I like you both the same. 


Waffles

But you like me more the same, right?


Benny

Oh god, Waffles. Not when I’m doing my cardio. 


(a soft sound)

Jones  

Meow.


Waffles 

Oh boy. 


Jones

Hey, Blueberry Pancakes.


Waffles

My name is Waffles. Wait, Jones. Why do you have a microphone?  


Jones

I don’t know. Why do YOU have a microphone? 


Waffles

I’m doing a podcast. And, I asked you first. 


Jones.

Ha, ha! Small world. Catch ya later, Cinnamon Scone! (meows and leaves)


Waffles

(calls after Jones) It’s ‘Waffles’! Just saying. Wait, Benny, I think Jones might be doing a podcast too! 


Benny

(still running and panting) What’s a podcast again? 


Waffles

Arrgh.. he stole my idea! That cat stole my idea! We gotta go see what he’s up to. We’re on the move, buddy. Here, get in your plastic gerbil ball.


Benny

I gotta do my packs and then my abs, and…


Waffles

BENNY! Get in the ball! (pitiful  voice) Please?


(Benny gets into the gerbil ball. He’s still running and panting, but this time he’s inside a small plastic ball)


Waffles

Folks, we are running through the kitchen and away to the mudroom to find the cat. Benny, look out. 


Benny

Oh! (bumps into something) I’m so nauseous.


Waffles

(speaks through her teeth) Come on! This way! And don’t bump into mom and 

dad.


Mom 

Honey? Honey, did you put the gerbil in the ball?


Dad

Eh, no. Must have been Zack. 


Zack

I didn’t do it.  


Dad

Hmm. That’s weird.

3.08


Waffles

(pants) Alright, we have arrived at the mudroom, I’m gonna crack open the door. 


(Waffles slowly opens the door to the mudroom)


Jones 

Testing, one two three, one two three…


Waffles

(gasps) Why, listners, the cat is sitting in his litterbox, he has a microphone and headphones and a big electronic thingy with a lot of buttons on it! He IS doing a podcast! Well, ha-ha! I don’t care. Sure it won’t be any good. 


(sudden burst of electronic sound effect)

LIVE! From the Litterbox. 

Live from the Litterbox.

Live from the Litterbox.


Jones 

Cat lovers, THIS is Live from the Litterbox, and I am Jones the cat, coming at you with a show so hot (vocoder) ‘It just might explode-‘ (explosion sound effect)

(Meow) 

Last episode was pretty hot too. Just saw the numbers. 2 million listeners- Oh wait, I had a paw over that ‘1’. That’s 12 million listeners, call in the fire department (pushes a button, fire enging siren sound effect) because (sings) ‘This show’s on fire!’ (pushes the button again) Thanks to all you cat lovers who downloaded my hit new single featured in last week’s episode. Let’s hear a little bit of it now. 


<Cats>

Cats! 

Are totally perfect 

are totally worthy 

of maxium respect (respect)


Who always lands on their feet, (cats)

who invented the nap (cats)

who sometimes has bonus toes 


 Meow-ow-ow-ooooh


What about dogs? (what about’em?)

What about dogs? (what about’em?)


Waffles

Alright, alright, stop the show. 


Jones

Whoo- looks like we have some guest in the studio. 


Waffles

It’s not a studio, Jones. You’re sitting in a litterbox. And you stole my idea. 


Jones

Sorry, but I’ve been rockin’ this show for like nine lives already. The only thing I stole is the heart of my listners (pushes a button, a crowd making ‘awww’ noise) 


Benny

Oooh! How do you make all those neat sounds, Jones? 


Jones

I got a lotta buttons, Benjamin. Like this one (pushes one, which makes a cartoonish sound effect) 


Benny

Classic. 


Jones

Pull up a seat, guys. We got a great show today.  I’m gonna leap off some high stuff, cough up a hairball I’ve been workin’ on (coughs), and then we’ll pop in on that sleepover party. Plus, my exclusive interview with Benny the gerbil (pushes a button, crowd clapping and cheering) 


Waffles

Wait, Benny, you’re doing an interview with him?


Benny

Hmm? I totally forgot I signed up for that. 


Jones

All that and more coming up, but first, let’s hear more of that sweet, sweet song. 


(Jones pushes the button and the song resumes)


(cats)

who invented the nap (cats)

who sometimes has bonus toes 

 

What about dogs? (what about’em?)

What about dogs? (what about’em?)


Well nobody expects that much so it’s okay.


5.41


Waffles

Hi folks, Waffles here and we are back with ‘Dog Talk’, Benny is done with his interview with the cat. Benedict Arnold, how did it go?


Benny

Oh what an interviewer he is; sensitive, insightful, compassionate…


Waffles

Oh alright, that’s enough, Benny, we get it! Anyway, listeners, I was not so impressed with his show. Sure, he has sound effects and music. Well, I can make my voice sound all cool if I talk through this fan. 

(turns on the electric fan and speaks into it) Helloooo, I’m coooool.

Plus, I just made up a Dog Talk theme song (clears throat) 

(playing a simple melody with a xylophone, she sings)

‘Bein’ a dog and talkin’ about it, Dog Talk!’


Nailed it! Okay, let’s talk about tonight’s big sleepover, shall we? Now, for a dog, the sleepover has good stuff and bad stuff. The good stuff is really good: Belly rubs, pretzel crumbs, that sort of thing. But the BEST part at every sleepover party, there is a Hu-UGE bowl of popcorn. Am I right, Benny?


Benny

Oh yeah. A lot of popcorn. I’d say ‘Too much for a gerbil but not enough for a bear’. 


Waffles

And how great would it be, if my very first podcast ended with my doggy face in a big bowl of popcorn?


Benny 

That would be very good radio. 


Waffles

And now, on to the bad stuff. (shudders) So, sadly, kids that go to sleepover parties like to dress up animals and the last four sleepovers have ended with me, Waffles, wearing a sweater. I actually have a picture of the last sleepover. Benny, would you please describe it to our listeners? 


Benny

I’d say four by six inches, glossy finish-


Waffles

(cuts in) Okay, thank you Benny. Anyway, it’s me in a sweater looking sad. And so, tonight’s goal is to get popcorn, and avoid sweater. 


Benny

Oooh, I’ll say it into the fan (turns on the electric fan) ‘Get popcorn, avoid sweater!’


Aaaand we’re back! 

Back in the litterbox.


Jones

Hey hey, cat lovers. I’m jumpin’ off of stuff, landin’ on my feet, because I am


 ‘so pumped for the sleepover tonight!’


But a short pause, who wants to hear me climb up some window treatment? Everybody? Oh great!

 (Jones walks on something and with a screechy meow, falls on the floor)

Bad idea. Anyway, wanna know why I’m so pumped? The answer is in this closet. (opens the closet) Because I’m a cat, the mom and dad humans that live here always give me balls of yarn to play with. But I don’t play with them. No no no no no no. I knit with them. And inside this basket is what I’ve been knitting all year long. 

(Angel singing sound) Yes, that was a sound of angels singing. Because it is so beautiful: A dog-sized sweater, with a hole for a tale, and fourty-five pompoms and fifty-five bells. (jingles bells) And it’s the very sweater that those girls at the sleepover will put on Everything Bagles tonight. It’s not done yet, but I have crazy ninja knitting skills which I plan to use right now. Whoa- knit! Curl! Knit! Curl! (slashes knitting needles like swords) Alright, cat lovers. We’ll be back right after this ‘We’ll be right back’ song. 


After these human messages : We’ll be right back!


9.00



(Simple melody) We’re back! 


Waffles

And that’s why I think the squeaky squirrel (squeaks) is far superior to the squeaky turkey burger. (squeaks) Now, next week, we’ll look at some different ropes that you can chew. And how to get the little stringy parts out of your teeth. 


Benny

Oh, I will definitely be tuning in for that. 


Waffles

Okay, so, still waiting on the sleepover to start. Benny, what time is it?


Benny

I don’t wear a watch, Waffles. My wrists are too small?


(Doorbell rights)


Waffles

Agh! That’s the door! It’s go time! Also, I am a dog, so I am biologically required to do this. (Barks and runs to the door. Door opens and Ellie greets her friends.)

Okay, I’m here by the front door. We have a bunch of sleepover guests arriving. 


Benny

I think it might have been some kind of carpool situation. 


Waffles

There’s Maya Williams, she’s a solid belly rubber. Nice. And that’s Angeli Xia, a total klutz with the pretzels; always a plus. 


(somebody says ‘Hi, Ellie!’ and Ellie’s mom greets her back)


Ellie’s Mom

Ursula! Oh Pam, I had no idea. 


Waffles

Ugh..oh no! Jamie Procter Perkins brought her little sister Ursula. (moans) This is bad. Ursula’s an ear puller and sometimes tail grabber. Ugh, this is going to be harder than I’d thought. 


Ellie’s Mom

Ellie, you wanna take them upstairs?


(Sound of children going up the stairs)


Waffles

Alright, let’s get up to the room, get a good position, get the popcorn, and get out. 


We’re baaaack, 

Back in the litterbox


Jones

Cat lovers, I can’t believe what I just saw with my own two eyes: Ursula Procter Perkins is here! (presses a button. sound of applause) I didn’t think getting the dog in the sweater would be THIS easy! Oh it’s gonna be beautiful. Wait a minute, (whispers) I think I hear those angels singin’ again. Cue to angels!


Angel voices (a cappella)

The dog will wear the sweater tonight!


(Dog Talk theme song- We’re back!)


Waffles

Alright, folks. I’m heading in to the sleepover now, wish me luck. I promised Benny four kernels of popcorn if he can take over the podcast and tell you everything he sees. Take it away, Benny!


Benny

Okay, I see sleeping bags, pretzels and a boardgame. There’s a movie on. Oooh, I think it’s the one where Lindsay Lohan plays twins! Classic. 

(as though he’s broadcasting a sports game) Waffles is lying patiently on her belly, here comes Maya Williams, leans in and pats Waffles on the head. Waffles flips over under her back and there goes Williams! Workin’ with the left hand, she rubs the dog’s belly. Folks! The Belly Rub has happened! Really well played by Waffles. Now for a slow motion replay: B-e-l-l-y-ruuub-! And back to the action. Uh-oh,


Ursula

Waffles-


Benny

(lowers voice) here comes Ursula.


Ursula

Come here, you doggy


Benny

Waffles drives them away but Ursula gets her hand on her back and now she’s got  the ear! She gives the ear a pull with the left hand and now grabs the tail with her right!


Ursula 

I can make you look pretty.


Benny 

Wait, is that…a hair drier? (sound of hair drier) I think Ursula may be trying to style the dog’s hair! Waffles is about to make a break for it but HERE COMES THE POPCORN! 


Ellie’s mom

Hey girls, who wants some popcorn?


(all children scream ‘me!’)


Benny

Wait, what’s this? (gasps) Uh-oh. It looks like Waffles is about to jump for the bowl! 


(Waffles growls and there is a noise of something falling on the ground, children screaming)


Ellie’s mom

Waffles, No! Bad dog!


(Waffles’ whining and soon a sound of door slamming)


Waffles

Ugh. Now I am in mom and dad’s bedroom, otherwise known as ‘doggy prison’! As we speak, a new batch of popcorn is being made and I’m trapped. This is literal garbage. I’m going to cut the mike and think my next move. 

12.40






Joanne Gordon 저서 [Art Isn’t Easy] (1990) 

번역 : 서지은 (jieun.suh11@gmail.com)




뮤지컬노래를 멈추고  목소리를 찾다
: 일요일에 공원에서 조지와 함께



닷은 공원 벤치에 앉아 문법책을 공부하려 애쓴다. 빨간 문법책은 조지의 지적 수준에 가까워지겠다는 상징으로, 궁극적으로는 조지의 복잡한 천재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스케치를 하는 조지의 목소리가 들렸다 말다 한다. 특정한 인물(생물) 생각을 표현하거나, 종이에서 일어나는 여러 음모를 흥미롭게 바라보며 느긋하게 앉아있다. 그러다가 조지는 뱃사람의 개에 초점을 맞춰본다. 닷이 거울 앞에서 자기 자신을 바라보던 것처럼 조지는 개를 바라본다: 


Dot 

If my legs were longer, 다리가 길었다면

If my bust was smaller. 가슴이 작았다면

If my hands were graceful 손이 우아하다면

If my waist was thinner. 허리가 얇았다면

If my hips were flatter. 엉덩이가 납작하다면

If my voice was warm… 목소리가 따스했다면

George

If the head was smaller 머리가 작다면

If the tail were longer… 꼬리가 길다면

If he faced the water…. 물가를 내다봤다면

If the paws were hidden…발이 보이지 않았다면

If the neck was darker …목이 짙은 색이었다면

If the back was curved… 등이 굽었다면


자신이 만든 세상 안으로 들어가며 개와 하나가 되고 개의 생각을 목소리로 나타내는 장면에서, 손드하임은 예술가의 공감능력을 명곡(show stopper- 곡이 끝난 박수소리 때문에 극의 흐름이 멈출만큼 강렬한 )으로 재탄생시킨다. 조지는 개가 짖는 소리와 그의 삶을 표현하는 단어들을 이용해 말장난을 하며 즐긴다. 


Ruff! Ruff! ! !

Thanks, the week has been 고마웡, 이번주는 특히

(Barks) (짖는다)

Rough! 힘들었엉!


개의 세상 역시, 세상을 구성하는 부분들로써 보여진다. 개의 시선을 반영하기 위해 표현도 영리하게 골라 사용했다: 


Bits of pastry… 쪼가리

(냄새 맡는다)

Piece of chicken … 쪼가리

(냄새 맡는다)

Here’s a handkerchief 여기 손수건에

That somebody was sick in. 누가 토했나봐

There’s a thistle. 엉겅퀴다

That’s a shallot. 감이다 (샬롯은 원래는 양파같이 생긴 채소)

That’s a dripping 여기 떨어진건

From the loony with the palette. 괴짜가 (떨어뜨린) 물감이다


뱃사람의 옆에 응석받이 퍼그가 나타나 사교적인 인사를 나눈다. 둘은 서로 다른 각자의 삶에 대해 불평한다. 여기서는 두마리를 통해 인간의 계급 차이를 풍자하고 있다. 개들은 일요일에 경의를 표하며 멜로디를 소개한다. 이들 뒤로 다른 인물들이 나타나 각자의 자유를 답사하는 모습이 부분부분 보여진다. 이는 손드하임이 뮤지컬에 사용한 인물 기법을 전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캐릭터는 불완전하다. 조지의 지각 속의 조각일 따름이다. 인물의 고민과 편견은 나타났다가 버려진다. 인물들이 공원에서 보내는 일요일의 즐거움을 함께 노래할 때에 이르러서야 조지가 머릿속에 그려두었던 그림으로 합쳐진다. 일요일은 완벽한 쇠라의 그림과 손드하임의 뮤지컬 안에서 그들이 영원히 견뎌내야 하는 일요일이다. 

외눈박이 뱃사람은 자기 자신이 바로 사회의 아웃사이더이다. 예술가를 이해하면서도 그가 그림으로 그려낸 현실의 정당성을 거부한다. 뱃사람은 예술가가 원하는 것만 보기 때문에 결코 진실을 없다며 비꼰다.  


지금 대체 누굴 그리는거야? Who the hell you think you're drawing?

? Me?

알지도 못하면서! You don't know me!

그래, 그림이나 그려. Go on drawing,

어차피 보고싶은것만 그리잖아 Since you're drawing only what you want to see,

누가 뭐래도 Anyway!

어디 마음대로 세상을 그려봐 Draw your wrong conclusion[각주:1],

당신네 예술가들이 그렇잖아 All you artists do. 

진실을 뿐이야 I see what is true... 


뱃사람의 단편적인 지각 개념은 조지의 화법과 일관되면서도, 반복되는 손드하임 테마를 반영한다. 손드하임은 자신의 여러 작품에서, 특히 <태평양 서곡Pacific Overtures>나무 위의 사람someone in a tree”라는 곡에서진실이란 여러가지 다른 관점들의 총합이라는 의견을 탐구한다. 이러한 관점은 대체로 손드하임 작법의 기저를 이루는데 여기서도 창작자와 주인공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스케치를 마친 조지가 퇴장하고 다시 닷에게 관심이 집중된다. 손드하임은 서로 다른 리듬 패턴을 이용해 닷이 남자(조지와 루이)에게 느끼는 감정을 대비시킨다. 조지를 향한 닷의 갈망은 오래 끌면서 느린 음으로 표현되지만 루이와의 관계는 빠른 박자에 얹혀 보여진다. 손드하임의 다른 캐릭터들처럼 역시 노래를 하면서 스스로를 설득시키려 애쓴다. 닷은 다정하고  단순한 제빵사 루이를 원하고 싶어한다. 


모두 루이를 사랑해 Everybody loves Louis,

루이는 단순하고 친절해 Louis’ simple and kind.

모두 루이를 사랑해 Everybody loves Louis,

루이는 사랑할만해 Louis’ lovable.


통통튀는 리듬은 닷과 루이의 단순한 관계를 보여준다. 가사에서는 청아한 소리가 나는 ‘L’ 반복해서 사용하면서 루이의 관능적인 면을 거의 만질 있을 같은 느낌을 주며 부각시킨다. 거기에 은밀한 말장난이 더해지면서 닷이 건장한 제빵사로부터 느끼는 반복적인 기쁨을 알아볼 있다. 


빵은, 조지. The bread, George.

그러니까 말야, 조지. I mean the bread, George.

게다가 밤엔, 조지… And then in bed, George…

주물러 I mean he kneads me- (knead반죽하다/ need필요하다)

그러니까, 반죽처럼 말야, 조지. I mean like dough, George.


그러나 닷은 계속 의심을 거두지 못한다. 노래 안에서 닷은 자신의 불안감을 드러내며 조지에 대한 미련이 여전히 남아있다는 사실을 마주한다.  결국 닷은 남자의 차이를 분명히 표현할 있게 된다.  


루이들도 있고 And there are Louis’s

조지들도 있지. And there are Georges-

루이들- Well, Louis’s

그리고 조지. And George.


남자 사이에서 닷이 내리는 선택은 문제를 반영하고 있다. 인기있는(대중성을 지닌) 예술가와 예술, 혹은 그렇지 않은 것에 대한 문제이다.  소수만 이해할 있으며 타협하지 않는 조지의 광적인 믿음은, 끈적하고 감상적인 루이의인기있는/대중적인popular’ 예술과 대비된다. 닷은 조지가 유일무이한 존재임을 알고 있고 그녀의 아픔은 반주에 반영되어 있다. 하지만 닷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루이의 크림빵을 한입 크게 베어물고선 떠나버린다. 

조지는 이제서야 홀로 남겨진다. 공원에 앉아 그동안 그렸던 스케치들을 훑어본다. 그림을 넘겨보며 조지는 그림 인물이 각각 어떤 성격일지 상상해본다. 그는 작품에 집중하려 하지만 결국엔 상실의 고통을 마주하게 된다. 


그래, 그녀가 찾는군. 좋아. Yes, she looks for me - good.

나를 찾아와 떠났는지 말해. Let her look for me to tell me why she left me - 

그럴줄은 알고 있었지만. As I always knew she would.


괴로운 자기 성찰을 시작으로, 손드하임의 가장 사랑스러운 발라드곡 하나로 꼽히면서 가슴깊이 예술가의 기질을 탐험하는 곡이 시작된다. 초반에서 등장했던 모든 음악적 장치들이 곡에서 어우러진다. 닷이 떠난 것에 대한 슬픔은 길게 지속되면서 온화하게 떨리는 음으로 표현된다. 그녀의 사랑을 결코 유지할 없을 거라는 믿음을 확인하는 순간에는, 조지의 상상속 세상을 이야기할 때마다 물처럼 흐르던 언더스코어가 리프라이즈된다. 자신의 상실에 대해 노래할때조차 조지는 강박적인 창작의 세계로 다시 빠져든다. 조지는 예술가를 이해해줄 있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자신을 이해해주는 닷에 대한 갈망을, “하지만 누군가 있다면- But if anybody could…” 이라는 가사의 높고 깔끔한 음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갈망과 이를 받쳐주는 코드를 시작으로 조지는 놀라운 창조성과 예술가의 뼈아픈 기쁨에 대해 깊이 파고든다.  조지는나머지 세상을/ 창문 너머로 지켜보는” -봐야만 하는 예술가의 고립된 외로움을 인정한다. 그러면서도 마치 신처럼 위엄있게하늘을 설계한다고 열정적으로 노래하는 부분에서는 예술가로서의 즐거움도 암시하고 있다. 조지가모자를 끝내 한다는 강박적인 욕구를 강조하는 부분에서 세부적인 것에 대한 관심이 (예술가로서의 즐거움에) 대조되어 보여진다. 조지는 상충되는 삶의 요구들의 균형을 맞춰본다. 


하늘을 꾸며 Mapping out a sky,

마음가는 대로 하늘을 그려 What you feel like, planning a sky,

목소리가 다가오면 What you feel when voices that come

창문 너머로부터 Through the window

. Go

목소리들이 멀어져 사라질 때까지 Until they distance and die,

하늘밖에 남지 않을 때까지. Until there's nothing but sky.


바깥 세상의 중요하지 않은 것들은, 마치 까치발을 짚은듯한창문Window” 음가에 얹혀 무단침입하는 보인다. 하지만 바로go” 꺼지면서멀어져 사라지다distance and die”에서 흐려지고 예술가는 자신이 창조한 세계의 완전한 고요로 돌아간다.  손드하임은 여기서 음악적 제안과 의미의 이상적인 결합 형태를 발견했다. 순간은 인물에게 결정적인 순간이다. 세계 사이에서 그는 인간의 감정 세계에 끌리는 마음보다는 반드시 일궈내야만 하는 예술세계에 대한 마음이 우선일 거라는 것을 받아들인다. 반짝이는높이에서 (“높이height”light” 이루는 각운은 우연히 만들어진 아니다) 자신을 끌어내려 감각적인 어둠의 세계로 이끌 있는 여자는 예술가의 감정적 자기고립을 참고 받아들여줄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유감스럽지만 인정한다. 

곡에서는 조지의 점묘화법도 자세히 다루고 있다. 작은 세밀한 부분들을 통해, 색색의 붓질을 통해, 단어 혹은 음을 통해,  예술가는 전체에 다가간다. 


모자를 알고 Studying the hat,

모자의 세계에 들어가 Entering the world of the hat,

모자의 세계를 헤치고 Reaching through the world of the hat

마치 창문처럼 Like a window, 

저기서 여기로 Back to this one from that.


인식/지각이라는 단위는 내적 창조성으로 통하는 창문의 역할을 하면서, 손드하임은 조심스레 세계의 균형을 잡는다.  작업실 창문 너머에서 손짓하는 세상은 사람의 온기와 우정의 세상이다. 다른쪽 창문 (조지에게 모자는 황홀한 상상의 세계로 닿을 있는 틈으로 인식할 있겠다) 주관적인 진리이다. 같은 시기에 활동했던 작곡가인 드뷔시와 라벨 풍의 반주를 통해 관객에게 조지의 모자 너머 세상이 환기된다. 유려한 반주가 반복되며 변조하는 것은 계속 변하며 어떤 형태로도 가둘 없는 예술작품의 진화를 표현하고 있다.

조지의 포부를 이야기할 손드하임이 사용하는 동사 - “연구하다”, “들어가다”, “도달하다 완벽을 향한 끊임없는 갈망을 떠올리게 한다. 애인을 바라볼때조차 그는 사람과의 관계에 전념하기보다는 자신의 예술 세계로 빠져든다. 


얼굴을 연구하고 Studying a face,

그러기 위해 발짝 물러나지 Stepping back to look at a face

사이엔 공간이 생기지, 창문처럼 Leaves a little space in the way like a window,

하지만 보는 것은 But to see-

이것이 유일한 방법이야. It’s the only way to see.


조지는 상실을 받아들이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자신은 결코 사람과의 관계에 마음을 쏟을 없을 것임을 깨닫는다. 조지에게 가장 시급한 욕구는 인간 이외의 세상에 있고 충동은 결코 누그러지지 않을 것이기에. 


네가 사랑하던 여인이 떠나면 And when the woman that you wanted goes,

어쩔 없었다고 스스로에게 말할수 있겠지 You can say to yourself, “well, I give what I give.”

하지만 너를 기다려주지 않을 여인은 알고 있지But the woman who won't wait for you knows

네가 어떻게 살아가더라도 That, however you live,

너의 구석에는 언제나 There is a part of you always standing by,

하늘을 설계하고 Mapping out the sky,

모자를 끝내고 Finishing a hat…

모자를 시작하고 Starting on a hat…

끝낼 사람이 살고 있다는 Finishing a hat…


만족감과 해방감을 느끼게 되자 조지는 거의 어린아이가 된것처럼 기뻐하며 노래한다. “, 내가 모자를 만들었어look, I made a hat…/ 원래 없었던 곳에where are there never was a hat…" 조지는 공원에 홀로 남아있기 때문에, 노래를 들어줄 이는 그림의 대상인 강아지 뿐이다. 

트럼펫 소리가 들리고, 다른 인물들이 공원에 불려들어온다. 어느정도 시간이 지났으며 그림 작업이 진척되고 있고 다양한 관계들이 복잡하게 얼키고설킨다는 것을 있다. 긴장감과 악의도 느껴진다. 캐릭터들은 자신의 주제곡 조각을 부르며, 서로를 경계하며 빙빙 도는 닷과 조지를 중심으로 분극화된다. 마침내 닷은 도전적으로 조지를 마주하고, 허리받이를 돌려 임신한 모습으로 분한다.

장면은 다시 작업실로 바뀐다. 연인의 결정적인 언쟁 장면을 연출할 곳이다. 닷의 사랑을 요구할 권리는 없지만 그녀가 부정을 저질렀다는 것에 대해 화가 잔뜩 조지는 닷에게 주기로 약속했던 초상화를 주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것으로 화풀이를 한다. 조지는 닷에게 자신을 추억할 거리는 뱃속에 들어있는 아이로 충분할 거라고 주장한다. 

줄스와 이본이 도착하면서 이들의 말싸움은 잠시 방해를 받는다. 남자들이 조지의 그림을 논할 , 이본은 닷에게 질투를 느꼈던 것을 고백한다. 이본은 닷이 조지의 영감의 원천이라는 것을 알아보지만 닷은 자신을 불멸의 존재로 만들어줄 사람이 아니라 곁에서 돌봐줄 사람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시키려고 한다. 조지는 자신의 새로운 화법이 가지는 의의를 완고한 줄스에게 납득시키려 애쓴다. 여기서 조지와 손드하임의 방식이 비슷한 점을 다시한번 찾아볼 있다. 줄스는 조지의 그림에서 인물의 개성이 부족하다고 불평한다. “얼굴을 알아볼수조차 없잖아”. 손드하임 역시 이러한 방식을 차용했다. 캔버스와 뮤지컬 무대를 차지하는 캐릭터들은 사실주의 작품에서와 완전히 다른 의미로 해석된다. 기본적인 것들은 암시되어 있지만 그들의 열정은 덧없다. 손드하임의 작품에서 캐릭터들이 이렇지는 않다. 작품이 개발되던 Playwrights Horizons에서의 워크샵 단계에서는 조지의 그림 인물들의 사연도 풍성했다. 라파인은 불협화음을 내는 현실적 존재들과 마지막 자세의 고요함이 대조를 이루길 바랐다. 그러나 관객은 곁가지 사연에는 관심이 없었고, 그래서 중심 인물인 조지와 닷의 사연에 집중하기로 했다. 둘은 복잡한 심리로 얽혀있지만 다른 인물들은 캔버스로 녹아들었을 때에만 그림의 구성요소로서 의미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손드하임이 캐릭터와 창작자를 분리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며 조지와 줄스가 이야기 나누는 장면은 극작가인 라파인이 것이라고 부러 얘기하고 있기는 하나 조지가 무언가 독보적인 것을 만들겠다는 강박을 정당화하려는 모습에서 손드하임 자신의 좌절감과 믿음이 드러나고 있다. 손드하임에게 지배적인 강박은 자기 자신의 목소리를 찾는 , 그리고 뮤지컬에 맞는 형태를 찾아주는 것이었다. 1막과 2막의 주인공들에게도 욕망이 있고, 이는 1막과 2막을 주제적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20170809. to be continued



  1. 직역은 ‘잘못된 결론을 이끌어내봐’-여기선 draw가 ‘그리다’가 아닌 ‘이끌어내다’라는 뜻이고, draw라는 동사를 중의적으로 쓰기 위한 장치 [본문으로]

Joanne Gordon 저서 [Art Isn’t Easy] (1990) 

번역 : 서지은 (jieun.suh11@gmail.com)




뮤지컬노래를 멈추고  목소리를 찾다

: 일요일에 공원에서 조지와 함께



조지는 캔버스에 물감을 바르고 닷은 자신에게 색을 입힌다. 사람이 각기 무대 옆에서 균형을 이루며 있는 모습은 영혼과 육체의 전통적인 이분법에 생생한 극적인 형태를 준다. 조지는순수한 창조성이라는, 세속과는 매우 동떨어진 대기에서 살아가며 닷은육체의 풍성한 관능 자체이다. 닷이 옷이 더이상 맞지 않는다며 투덜거리는 대목에서는 그녀가 임신했음을 간접적으로 있다. 조지는 인정하려하지 않지만 닷의 관능이야말로 영감의 원천이다. 조지는 그녀를 그리고 그린다. 그의 천재성은 캔버스 뿐만 아니라 그녀의 자궁에서도 살아있다. 손드하임은 자신을 조지와 동일시할 수는 있지만 닷을 냉대하지는 않는다.


조지가 색을 칠하는 행위를 반영하던 반주는 닷이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이리저리 뜯어보는 장면에서도 똑같이 흐른다. 눈썹 하나를 뽑을 때마다 종소리가 울린다. 차분하게, 조지가 바라는 집중력을 연습하려는가 하는 참에 닷은 고삐가 풀린 환상 속으로 뛰어든다. 생명력과 삶을 갈구하는 닷의 마음은 통통 튀는 캉캉 춤으로 번역되지만 거품은 금방 빠져버린다.  손드하임은 신나는 캉캉 리듬 뒤에 아주 느리고, 깊은 생각에 잠긴듯한 리듬을 붙이는 것으로, 다정하게 닷에게 조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일깨워준다. 닷은 조지가 말했던색채와 대해 얘기한다. 단어가 등장하자 다시 초점은 조지에게 맞춰진다. 조지는 캔버스에 있는 인물 하나하나에 사랑을 담아 이야기를 하고, 닷은 다시 분노한다.


조지의 붓질을 반영하는 스타카토 음들이 다시 들리고, 조지는 매우 특별한 소리의 독백을 즐긴다. 마치 제임스 조이스의율리시스에서처럼, 독백은 문법이나 이성이 아닌 감정으로만 이어진 언어들이 흐르는 자유로운 구조를 지닌다. 곡은 조지가 캔버스에 칠하는 물감을 중심으로 조직되어있는데,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나열된 이름들 사이사이에 조지의 의식의 흐름이 배치되어 있다. 


Blue blue blue blue    파랑 파랑 파랑 파랑

Blue still sitting     파랑 아직도 앉아서

Red that perfume    빨강 그 향수

Blue all night    파랑 밤새도록

Blue-green the window shut    청록 창문은 닫혔어

Dut dut dut        덧 덧 덧

Dot Dot sitting     닷 닷 앉아있어

Dot Dot waiting      닷 닷 기다리고 있어

Dot Dot getting fat fat fat …     닷 닷이 뚱뚱해지고 있어 뚱뚱해지고…


조지는 닷이 거기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닷의 몸이 불고 있다는 것도 눈치 챘다. 조지는 닷이 무얼 필요로하는지 알지만 그림을 그려야겠다는 강렬한 욕구로부터 멀어질 없다. 조지는모자를 마무리해야만 한다.’ 열띤 창작과정과 작업실 안의 답답한 온도 모두를 가리켜 조지는 “It’s hot in here…/ Sunday / Color and light!”(“여긴 너무 더워… / 일요일 / 색채와 !”) 이라며, 작품 전체에 걸쳐 반복되는 단어와 소리 공식으로 흥겹게 표현한다:


조지는 이제 완벽하게 집중하고 있다. 조지는 닷에 대해 완전히 잊어버린다. 그는 캔버스 세상에 빠지고, 닷은 또다시 그의 편협성을 파고들려고 노력한다. 그의 그림은 노래로 표현되고, 닷의 당장의 걱정거리는 산문체의 대사로 표현된다. 조지는 자신이 창조해낸 세상을 보고 있다. 경이로운 색채와 음영의 세계. 조지의 지각도 색으로 변환된다. “It’s getting hot … 뜨거워지고 있어/ It’s getting orange…오렌지빛이 되고 있어”. 꿰뚫을 없는 조지의 눈빛을 이해한 닷은, 자신을 명의 사람이 아닌 그저 예술의 대상으로 바라보기 시작한다.  “studied like the light 빛처럼 연구되고 있어그러나 최면을 거는 듯한 조지의 마력을 거부하지는 못한다. 닷은 서서히 자신의 욕구를 알아차리고 조지의 천재성을 흠모하는 자신을 인정한다. (손드하임은 가사 구조를 바꾸는 것으로 인물이 사랑을 받아들이는 것을 표현한다. 닷은 산문체의 대사로 공상을 시작하지만 사랑에 대해서는 시로 표현한다.) 조지도 마찬가지로 자신의 모델에 사로잡혀있다. 닷의 분명한 나르시시즘에 당황하면서도 조지는 그녀의 아름다움에 예술가로서, 그리고 남자로서 멈춰서게 된다. 닷이 영감이 원천이라는 사실은 빛과 닷을 결합시킨 조지의 가사에서 드러난다. “But the way she catches light… 하지만 빛을 받는 그녀의 모습은…”

반짝이는 창작의 소리로 반주가 돌아오면, 연인은 마침내 감정적 교류를 이뤄낸다. 둘은 화음을 낸다.


조지

And the color of her hair 그녀의 머리 빛깔

I could look at her 나는 그녀를 바라볼 수 있어

Forever… 영원히


I could look at him 나는 그를 바라볼 수 있어

Forever… 영원히


목소리들의 융합은 관객과 캐릭터 모두에게 순간적인 감정이 표출되는 순간을 주지만 오래가지는 못한다. 조지는 거의 바로 다시 점으로 가득한 자기의 세상에 빠지고, 폴리스 공연에 데려가기로 했던 닷과의 약속을 까맣게 잊는다. 그들의 상반되는 시점은 가사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그는 잠시 흔들리지만 다시 작업에서 위안을 찾는다. “어떻게 해야 하지?” 라고 자문하는 조지는 처음에 닷과, 그녀를 실망시킨 자신의 죄책감에 집중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가 심사숙고하는 과정에서 음악이 잠시 멈추자, 그는 진정 가장 중요한 결정, 색을 고르는 것에 집중력이 옮겨간다. 조지가 “Red 빨강 겨냥하면서 망설임의 시간은 지나간다. 


무대가 다시한번 섬으로 바뀌면 조지의 세상에 살고 있는 또다른 인물들이 관객들에게 소개된다. 공격적인 뱃사람과 그의 , 키득거리는 가게 점원 아가씨들(익살스럽게 셀레스트 1, 2라고 이름지어진), 그리고 조지의 어머니와 그녀의 보모 . 그들은 닷이 그녀의 애인인 만드는 루이와 함께 나타나자 흥분하며 수근거린다. 조지가 그림그리는 행동을 받쳐주는 스타카토 리듬 위주의 반주패턴처럼, 조지의 작업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뒷받침하는 소리 패턴들이 존재한다. 모든 소문과 비판은 구성 단위로 분리, 합쳐져서 음악적 캔버스를 만든다. 그런 식으로, 조지는 소리, 모양, , 빛의 포격을 받는다. 알아볼 있는 단위의 음악적 정체는, 화가의 팔레트에 있는 다양한  빛깔과 대응시킬 있다. 이러한테 주제적 패턴은 손드하임이 스위니 토드에서 사용했던 라이트모티프와 비슷하긴 하지만 훨씬 분열되어있고 인상주의적이다. 


20170711. to be continued



Joanne Gordon 저서 [Art Isn’t Easy] (1990)

번역 : 서지은 (jieun.suh11@gmail.com)




뮤지컬, 노래를 멈추고 목소리를 찾다
: 일요일에 공원에서 조지와 함께


손드하임의 뮤지컬 Merrily We Roll Along[각주:1] 별다른 주목도 받지 못한 실패로 끝났으니, 그가 예측불가능한 브로드웨이에서 영원히 떼고 물러난다고 선언했어도 놀랍지 않았을 것이다. 이번에는 확실히 멜로디가 있으며 엄연히 감정에 와닿는 듣기 쉬운 음악[각주:2] 썼음에도 몇몇 비평가들은 작품이너무 복잡하다 치부해버렸다. ‘냉철한 지성미라는 손드하임의 평판 때문에 뉴욕 관객들은 뮤지컬 Merrily 매력과 따스함을 제대로 보지 못했던 같다. 이러한 비평가들의 고정관념에 더해 Sweeney Todd(스위니 토드) 뉴욕시를 비롯한 여타 지역 오페라단 레퍼토리 목록에 추가되면서 손드하임은 급박하게 돌아가는 뮤지컬계를 떠나 보조금을 받으며 일하는 희박한 오페라의 세계로 영영 가버렸을수도 있었다. 그러나 손드하임의 반응은 예상대로 예상 밖이었다. 

대형 브로드웨이 프러덕션의 죽기 아니면 살기식 제작에 환멸을 느낀 손드하임은 해롤드 프린스와의 15 파트너쉽을 끊고, 앞으로는 오프브로드웨이에서 천천히 발전시키는 과정을 밟는 워크샵을 통해 새로운 작품을 개발하기로 결정한다. 연극 Twelve Dreams (정신분석학자 카를 융식 환타지), Table Settings (가정불화에 관한 색다른 풍자) 등을 극작가이자, 작곡가 윌리엄 핀의 성공적인 오프브로드웨이 작품 March of the Falsettos 연출한 제임스 라파인과 손잡은 손드하임은 Sunday in the Park with George (이하 Sunday) 개발하기 시작한다. 압박이 느껴지는 오프브로드웨이에서 말이다. 

둘에게 영감을 것은 화가 조르주 쇠라의 삶과 작품으로, 특히 그의 초대형 대작인그랑자트섬의 일요일 오후이다. 쇠라에 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그는 1859년에 태어나 1891년에 세상을 떴다. 프랑스 신인상파로 분류되는 쇠라는점묘법으로 불리는 자신만의 독특한 채색 기술을 완성시켰다. 쇠라는 굉장히 비밀스러운 사람이었다. 일기를 쓰지도 않았고, 남아있는 안되는 편지마저 그에 대해 알려주는 것이 별로 없다. 아주 드물게 남겨둔 자화상에서조차 그는 뒷모습 뿐이다. 혹자는 쇠라의 친구들조차 쇠라가 동거하던 여인에 대해 몰랐을 것이라 생각한다. 독창적인 예술적 표현방식을 추구하는 짧은 인생을 바친 쇠라는 서른한살의 나이에 폐렴으로 사망한다. 살아생전 작품을 하나도 팔지 못한 . 

당대 인상파 화가들과 마찬가지로 쇠라 역시 색과 빛에 대해서 가장 중요하게 고민하였다. 그러나 모네와 르누아르같은 화가들은 그의 작품이 너무 극단적이라며 쇠라의 화풍을 인상파로 분류하기를 거부했다. 쇠라는 자신의 엄격한 과학적 의향에 맞추기 위해 인상파의 감정적 주관주의를 이용했다. 인상파 화가들이 자연에 가까운 정확한 색을 찾으려 애쓰는 동안 쇠라는 현상을 주요 원색으로 분석하였다. 그런 쇠라는 캔버스에 아주 작은 상호 보완적인 원색을 점으로 칠했다. 보는 사람들의 눈이 근접한 색상들을 직접 섞기를 바라면서.  쇠라의 그림을 현미경으로 면밀히 검토한 결과, 그는 단순히 색을 나란히 붓질한 것이 아니라 원색과 등화색(等和色-2원색을 등분 혼합한 ) 여러 겹으로 칠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보는 이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하는 시각적 과정은 놀라운 생동감으로 빛나는 캔버스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쇠라가 색을 응용하는 데에만 몰두했던 것은 아니다. 다른 인상파 작품처럼 찰나의 효과를 내는 것과 달리 쇠라의 작품은 매우 엄격히, 거의 수학적으로 설계되었다. 그의 작품은 형태에 대한 그의 집착을 확실히 보여준다. 그는 어떤 형태는 확고한 정서적, 미학적 내포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했다. 예를 들어 강렬한 수직의 나무들은 수평적 그림자와 대비되어 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배경에 있는 사람의 모습들과 균형을 이루게 된다. 

쇠라는 기념비적인 대작 - 캔버스는 무려 가로 3m, 세로 2m 된다- 위하여 야외에서 수많은 스케치를 했다. 그리고는 작업실로 돌아와 고통스러운 채색 과정을 계속했다. 비교적 기계적이면서도 상당히 노동에 가까운 과정이었다. 그랑자트 섬은 세느강 가운데 있는 작은 조각일 뿐이었지만 당시엔 노동계급 시민들의 만남의 장소로 유명했다. 쇠라는 작품 안에 부유층 인물도 등장시켜 파리지앵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작품의 구성적 복잡성을 설명하면서 미술사 교수 노버트 린턴은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그랑자트섬의 일요일 오후는) 인상파에게서 모자랐던 기념비성이 가득한 작품이다. 구성에 있어 좌-우의 움직임은 그림의 공간감을 강조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듯 명확히 다른 공간에 모여있는 인물들이 거의 모두 왼쪽을 향해 있다. 색이 대비되어있고, 직선이 곡선을 거스른다. 공간감과 신체적 존재감이 충분하나 작품 전체적으로는 벽화의 느낌이 강하다. 

작품은 차가운 고요에 물든듯하지만 명백한 생명력으로 우글거린다. 놀라우면서도  아리송한 그림으로부터 손드하임과 라파인은 용감하게 뮤지컬을 만들기 시작했다. 

Sunday 예술적 창조성의 본질에 주제적 초점을 두고 있다. 예술가가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어떻게 예술을 하는가? 그리고 가장 의미심장한 질문 : 예술가가 된다는 것이 세상과 타인과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모든 예술가의 삶을 이해하는 이러한 주제가 중요하기 때문에 작품은 손드하임의 모든 작품을 통틀어 가장 자전적이라 있다. Company에서 주인공 로버트와 손드하임을 비교하며 보람이 없었던 것과는 다르게, 손드하임과 조지의 동일시는 예술가의 개인적이면서도 보편적인 예술가의 고충을 드러낸다. Sunday 예술가의 자기 표출을 매우 세련된 형식으로 다루고 있다. 창조성의 본질, 그리고 예술과 삶이 지닌 모순적인 요구들은 손드하임이 가장 직접적으로 맞닿아있는 지점이다. Sunday 창작하면서 손드하임은 소박해보이는 비서술적인 방식으로 이러한 주제들을 다루며 가장 개인적인 뮤지컬을 창작하는 자유를 누렸다.

손드하임은 쇠라가 겪는 감정적인 혼란을 자신의 것으로 인정하지 않으려 하지만 예술적 기법의 동질성은 인정하고 있다. 무대를 구성할 손드하임은 그림의 영역에서 쇠라가 구현했던 근면성실한 집중력을 보인다. 쇠라가 바랐던 과학적 정확성은, 손드하임에 있어 음악과 수학의 관계에 반영되어있다. 


‘음악은 개수가 한정된 변수들의 구성이다. 언어는 가능성이 무한하지만 온음계 음악은 그렇지 않다. 이미 알고 있는 병력을 재배치하는 것이다. 온음계를 구성하는 것은 확연한 수학적 기반이 있다. 음계간의 관계, 불협화음이 화음을 이루기 위한 필요성 등은 수학적 원칙을 따른다. 옥타브를 보면 그것은 그저 두 개의 ‘도’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여덟개가 있다. 거의 무의식적이지만, 음악을 공부한다면 이런 것들을 의식하고 있어야 한다. 그것은 언어이다. 거의 컴퓨터 전문 용어에 가깝다.’


쇠라처럼 손드하임 역시 자신의 작품을 세분화한다. 구성 요소별로 나눈 단위들을 다시 합쳐 음악적 전체를 만드는 것이다. “인물을 위한 곡을 어떻게 작업을 시작하나요?”라는 질문에 대해 손드하임은 이렇게 답한다:


나는 늘 모티프로 시작합니다. 항상 말이죠. 밀튼 배빗 교수님은 길게 이어지는 음악적 발전기술을 가르쳐주실 때 작은 음악적 아이디어들이 큰 구조적 형태로 확장되는 거라고 가르치고 훈련시켰죠. 중요한 건 가장 작은 것으로부터 가장 커다란 걸 끌어내는 거예요. 그 반대가 아니고요. 나는 그것을 예술의 원칙으로 여겨 왔어요. 특히 음악에 있어서 바흐의 푸가를 보면 마치 거대한 성당 같은데 그건 아주 작은 모티프들로 이루어져 있죠. 나는 늘 그렇게 작곡해왔고 그래서 내가 매력을 느끼는 뮤지컬에 대해서도 설명할 수 있어요. 인물에게 모티프를 하나씩 주고, 그 인물과 함께 모티프가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그런 작품들에 나는 매력을 느낍니다. 


음표, 단어, 리듬 패턴은 손드하임이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표현 단위이다. 선택 하나하나가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예술작품을 창작하는 것은 무수한 작은 선택들을 동반하기 때문에, 손드하임은 예술가가 갑자기 찾아오는 영감을 받아 내적 천재성을 발휘해서 즉흥적으로 작업한다는 생각을 거부한다. 지겨울 정도로 느릿하고 꾸준히 체계적으로 공들이는 쇠라의 작업방식이야말로 손드하임이 선뜻 자신과 닮았다고 말할 있는 방식이다. 손드하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쇠라는) 그 캔버스에 수천 수만개의 점을 찍어놓았어요. 그 점 하나하나가 독립된 선택의 결과물이었고요. 혹자는 오백만개의 독립적인 선택들이라고도 하죠. 

그리고 그게 바로 예술입니다. 나흘동안 모자에 달린 꽃에 공을 들인 후에, 열흘동안 모자에 공들입니다. 그리고 나면 작업해야할 모자들이 스무개가 더 넘게 남았죠. 그러면 모든 모자들은 어떤 패턴에 속하게 됩니다. 그리고나서 얼굴에 대한 작업들이 시작되죠. 이건…그냥…아주 힘든… 일입니다. 


이러한 면이 바로 손드하임이 극으로 만들고자 하는 창작의 부분이다: 예술가에게 요구되는 엄격하고, 매력없고, 대부분 단조롭기만 헌신. 

쇠라가 강조하는 형식에 대한 부분은 정교하게 짜여진 손드하임의 뮤지컬의 형태에서 보여지고 있다: 어느것도 무작위인 것은 없다; 임의적인것도 없다; 세부 사항들은 전체적인 음악 작곡에 필수적이다. 예술가들의 기술은 나아가 비교해볼 있다.  Sunday, 뉴욕타임즈 비평글에서 프랭크 리치가 기술한 바와같이 진정한 현대적 뮤지컬이다. 작품에는 임시적으로라도 이어진 선형적 플롯이 없다. 기존의 이야기 구조와는 달리, 인물들의 생각의 상태 변화를 따라 내러티브 구조가 집중된다. 사건은 미학적 결정보다 중요하다. 

내러티브의 중요성과 대안적 구조에 대한 탐험 사이의 문제는 당연히 작품의 초기 발전 단계에서 중요하게 여겨졌었다. 처음에 손드하임은 전혀 내러티브를 만들지 않았었다. 음악적 주제와 변주 자체에 대한 무대화를 목표로 구조를 계획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라흐마니노프의파가니니의 주제에 대한 변주 들을 때마다 나는 먹먹해져요. 그걸 무대로 옮겨보면 재밌을거 같다고 생각했어요. 1막에서 쇠라의 작품을 이용해 그것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보여주자고 결정하고 나는 굉장히 신나 있었어요. 2막에서는 변주의 나열이거나 그림에 대한 여러 관점들을 얘기하는 식으로 알았거든요.” 아주 흥미로웠지만 형태는 바뀌어야 했다. 관객의 흥미를 끌기에는 형태 자체에 대한 흥미만으로는 부족하며, 이야기가 어떻게든 이어지는 것이 극적인 효과를 위해 필요하다고 라파인이 주장했기 때문이다.

어쨌든 손드하임은 음악, 가사, 캐릭터까지 연합적인 패턴으로 사용하였고,  관객의 통찰을 통해서만 진가를 완전히 알아볼 있도록 설계했으니 이루고자 했던 목표에 상당히 많이 근접했다고 있다.

손드하임의 음표 하나하나는 쇠라의 하나하나와 동등한 음악적 존재라고 이해해도 좋을 것이다. 기술에 대한 독자성은 손드하임 본인이 기술하고 있다: “쇠라는 음악가가 음계를 가지고 실험하는 것처럼 색상환을 가지고 실험했습니다. 그는 딸림화음 혹은 으뜸화음 계열을 사용하는 것처럼 보색을 사용했습니다. 생각해보면, 유사점이 굉장히 많습니다. 그림으로부터 시작했지만 내가 쇠라에 대해 알아갈수록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세상에, 이건 음악이네.’” 멀리서 보면 쇠라의 그림은 자연과 인류가 정리된 세상에서 균형을 잡고 있는 조화로운 이상이다. 그러나 가까이서 살펴보면 예술가 기술의 추상적 엄격성이 분명해진다. Sunday 정밀히 분석해보면 수만개의 숨겨진 단위들이 패턴을 이루며 증대된 전체가 된다. 소리, , 감정, 그리고 미학적 아름다움은 각기 자율적인 중요성을 지니면서도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통합된다. 

그러나 19세기 화가와 20세기 작곡/작사가의 가장 중요한 관련성은 각기 예술적 완벽을 추구하는 헌신에 있다. 뮤지컬의 감정적 서브텍스트는 이러한 종류의 광신에 따르는 고립감에 대해 지속적으로 질문을 던지고 있다. Sunday 지루한 분류화를 깨부수려는 손드하임의 의지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뮤지컬이라는 장르를 재정의할 있는 그의 능력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손드하임의 관객들로 하여금 그의 예술을 통해 미학적인 진실을 재발견하도록 만든다. 그리하여, 뮤지컬은 주제를 극화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제 자체라고 말할 있겠다. 

1막은 쇠라의 역작을 창작하는 과정을 그린다. 화가의 세상을 이루는 다양한 인물들이 관객에게 소개된다. 그러나 소개 과정들은 조각난채 스치듯 보여진다. 예술가가 만나는 이들은 대부분 그의 입장에서 사용 목적에 따라 보여지고 관객은 화가의 시선을 통해 그들을 받아들인다. 1막의 등장인물들은 조지의 예술적인 노력에 순간적인 영감을 주거나 방해하는, 색채와 빛의 배열들이다. 극적인 효과보다는 구성적인 중요성을 띤다. 화가의 애인과 어머니만이 예술가의 의식에 진정한 영향을 미친다. 

막이 오르면 무대가 보인다. 페이지를 무대적인 이미지로 변환시킨 것이다. 수염이 인물이 무대 앞쪽에 앉아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자 그의 현실의 요소들이 기적적으로 무대에 구체화된다. 상승 아르페지오 여러개를 따라 (지속적으로 반복될 음악적 모티프) 하얀 세상은 사라지고 조지의 세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아르페지오는 화가의 팔레트와 상관관계가 있는 음악적 목표물이다; 주요삼화음은 쇠라의 원색들에 대한 손드하임의 화음적 유사체가 된다. 쇠라가 색을 점으로 원자화했듯, 손드하임은 그의 가사와 음악적 주제들을 세분화했다. 예술가 모두 미학적, 감정적 음영과 농도를 얻어내기 위해 자신들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를 다양하게 결합하여 나란히 보여주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쇠라가 순수색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비유로 손드하임은 미묘한 전반적인 인상을 보여주는 화음과 다이어토닉 코드 무리를 사용했다. 손드하임은 : “음악을 그림처럼 열린 상태로 순수하게 두고 반짝임을 주려고 했어요. 코드 무리들도 만지작거리고 있었어요, 쇠라가 그림에서 서로 다른 색의 점들을 병치시킨 것처럼 코드 무리들도 비슷하다고 생각했거든요.” 

뮤지컬을 여는, 분명히 연결이 되지 않는 단어들은 실은 조지의 미학적인 신조이고 예술가의 삶과 뮤지컬의 구조를 이루는 주제적인 뼈대이다:


White. A blank page or canvas. 흰, 빈 페이지 혹은 캔버스.

The challenge: bring order to the whole. 도전 : 전체적인 질서를 가져올 것.

Through design. 설계를 통해.

Composition. 구성.

Tension. 긴장.

Balance. 균형.

Light. 빛.

And harmony. 그리고 조화. 


단어와 함께 반주에서는 모티프가 꾸며진다. 손드하임 악보의 단위와 조지 세상의 요소들이 짝을 이루게 된다. 조지가 자신의 세상을 이루는 요소들을 스케치하거나 지우는 동안 (조지의 기분에 따라 나무가 나타났다 사라질 것이다), 손드하임도 음악을 조종한다. 아르페지오는 명확하고 단순하다. 그것이 반복되는 동안 어떤 명확한, 제어된 불협화음이 소개된다. 음들은 차츰 복잡한 패턴으로, 조지의설계 대한 요구와 일치되도록 맞춰진다. “구성에서 긴장감이 고조된다. 마지막 음은균형 머문다. 암시된 불협화음이 궁극적으로 해결되면서, 예술가가조화 강조할 음악이 주제로 합쳐진다. 

극의 부분 군데군데에서 음악의 극적인 계획이 세워진다. 우리는 예술가의 세상으로 빨려들려온다. 모든것이 가능하다. 세상은 구체화되었다가도 사라질 수도 있다. 무대에서 지속적으로 바뀌는 그림과, 전반적인 인상을 보여주는 손드하임의 음악이 가진 힘으로 인해 현실이 만들어진다. 음악의 표현 방식은, 영국 작곡가 벤자민 브리튼을 떠올리게 하는데, 작품의 시대적 배경을 떠올리게 하면서도 쇠라의 세상이 가진 마법과 거기에 흐르는 모순 전부를 넌지시 비춘다. 손드하임의 의도는 황홀한  왕국을 창조하는 것이었다. 관객이 떠나기 싫어하는, 이상하고, 예측불가능하고 놀라운 장소를.

자신의 세상을 이루는 기본 요소들이 갖춰지면, 조지는 애인 닷을 공원으로 안내해 데려온다. 장면에서는 둘의 상충되는 집착 친밀도가 여러 각도로 보여진다. (점이라는 뜻을 지닌 그녀의 이름은 조지의 집착을 너무 문자 그대로 상징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해맑고 쾌활한 사람이다. 연인이 놀리듯 주고받는 대화를 보면 닷은 조지가 하는 작업의 중심일지는 몰라도 그의 인생에 있어서 중심은 아니라는 것이 명확히 보인다. 닷은 패션에 관심이 있고, 조지는 물에 비친 빛이 그녀에게 어떻게 반사되는지에 관심이 있다. 앞머리에서 조지의 단어들 사이에 간간이 끼어드는 아르페지오는 장면에서도 조지의 열광적인 스케치를 반영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사용되었다. 조지가 스케치해둔 나무를 지우자 아르페지오와 함께 무대에서도 나무가 사라진다. 조지가 배를 불러내자 모형이 무대 수평선에 나타나면서 아르페지오가 들린다. 많은 나무들이 무대에 세워지면서 다른 아르페지오. ( 아르페지오는 음악의 선율적 발전을 이루지 않고 자체로 완성된 상태로 매달려있다. 화가의 그림에 대항하는 음악적 상대로서)

이른 아침의 고요함이 노인(나중에 조지의 어머니임이 드러난다) 보모에 의해 깨진 이후, 초점이 다시 닷에게 집중되면서 새롭고 독특한 음악적 아이디어가 소개된다. 조지는 일에 빠져있고 닷은 그런 조지의 눈길을 끌어보려 용맹스럽게 애쓴다. 닷은 예술가 조지의 작품의 분명한 중심이 되는 것을 즐기면서도 정적인 지루함을 참지 못한다. 닷의 불만을 드러내기 위해 손드하임은 스타카토 점묘법을 사용하는데, 조지의 화법과 통제불능 상태인 닷의 짜증을 나타내고 있다. 조지가 닷을 색색의 점들로 원자화하는 동안 닷은 불편을 유발하는 요소들을 또박또박 말한다:


A trickle of sweat. 땀이 흐르네

The back of the head. 뒷목을 타고

He always does this. 그는 늘 이래

Now the foot is dead. 발이 저려와

Sunday in the park with George. 일요일 공원에서 조지와 함께 

 

뚝뚝 끊어진 구절들과 이어지지 않는 음들로 닷의 조바심을 그리고 있지만 조지를 향한 마음이 커지면서 그녀의 질투심은 늘어진 표현들을 찾는다. 소리와 색의 단위들이 반복되면서, 가사의 주요 구절들이 반복, 강조된다. 


Artists are bizzare. Fixed. Cold. 예술가들은 이상해,딱딱하고,차가워. 

That’s you, George, you’re bizzare. Fixed. Cold 당신 말야, 조지,이상해,딱딱하고,차가워

I like that in a man. Fixed. Cold. 그런 남자들이 좋긴 해, 이상하고 차가운.


감정을 자극하는 함축된 말들은 손드하임의 의도대로 강조되는데, ‘이상해차가워라는 말들이 확실하게 튀어 보이도록 굉장히 낮은 음에 실어둔 것이다. 이제 발전될 주제는 조지의 무관심함이다. 

닷은 조지더러 내성적이라면서 불만을 토로하면서도 거의 동시에 그런 모습이 매력적이라며 노래하는데 그런 모습에서 닷의 모순적인 성격이 보인다. 조지의 쌀쌀맞은 무심함과 닷의 물리적인 뜨거움이 분명히 병치되어 보여진다. 조지는 그늘에 앉아있고 닷은 햇빛을 받고 있다. 조지는 차분하고 몰두하고 있다; 닷의 뒤로 땀이 흐르고 그녀는 빛나고 있다. 닷은 음악적, 감정적 팔레트에서 따스한 톤을 전부 차지하고 있다. ‘ 여긴 정말 너무 더워!’라며 그녀가 길게 내지르는 비브라토에서, 땡볕에서 포즈를 취해야만 하는 가혹함을 느낄 있다. 

조지의 손이 종이 여기저기를 날아다니자 손드하임은 닷을 숨조차 쉬기 힘든 말도 안되게 노래구절로 내몬다. 화가의 스타일과 인물의 불만과 장면의 시각적 충격이 놀랍게 얼키고설킨 부분이다. 


There are worse things 뭐 더 나쁜 일도 있을 수 있지

Than staring at the water 물을 내다보는 것보다

As you’re posing for a picture 모델로 포즈를 취하면서

Being painted by your lover 애인이 그려주는 그림 속

In the middle of the summer 한 여름 뙤약볕에

On an island in the river on a Sunday 강에 있는 섬에서 일요일에


손드하임의 전작 뮤지컬컴퍼니에서 신부(에이미) 폭발하듯 불렀던 오늘 결혼 안해라는 곡이 생각나는 기술이다. 모두에서 손드하임은 불만이 극에 달한 인물의 대화가 통제할 없는 수준으로 어긋나서 격렬한 분개로 터져나오는 모습을 보여준다. 

갑자기 조지가 일어나 그녀에게 다가가고, 닷이 마치 그의 창조적 울타리를 넘어선듯 보인다. 그러나 조지는 닷의 드레스 주름을 바로잡을 , 그녀를 거의 쳐다보지도 않는다. 분노를 꾹꾹 누르는 닷의 마음을 솔로 첼로 반주가 보여주고 있다. 


닷:

The petticoat’s wet, 속치마가 다 젖었어

Which adds to the weight. 너무 무겁다

The sun is blinding. 햇빛에 눈이 멀겠어

(눈을 감는다)

All right, concentrate… 좋아, 집중해…


조지:

Eyes open, please. 눈 뜨세요.


닷:

Sunday in the park with George… 조지와 함께 공원에서 일요일에…


조지:

Look out at the water. Not at me. 물가를 바라봐. 나 말고.


세밀한 부분 하나하나까지 신경쓰는 손드하임의 작업방식을 여기서 분명하게 있다.  인물의 동작과 반응까지도 가사에 명시되어있다. 그리고 음악은 인물들의 억눌린 생각들을 보여주는 감정적 서브텍스트를 전달하고 있다. 

조지는 방정맞은 모델에게 집중력을 요구하고, 마침내 그녀는 이해한다. 그녀의 생각과 감정들이 자유로이 떠다니는 와중에, 유쾌한 무대적 술책을 통해 신체적인 고요함이 그려진다. 무겁고 장식 가득한 닷의 드레스가 열리면서 닷이 탈출하는 것이다. 닷이 빠져나온 드레스는 다시 닫힌다. 닷이 레이스 달린 속옷만 입은 무대를 이리저리 날아다니는 동안 조지는 자신이 그리던 모델이 환상속으로 탈출한 사실을 눈치채지 못한 계속 스케치를 뿐이다. 앞서 절제된 리듬 패턴과 상반되는 피지카토에 맞춰 닷은 신나서 뛰어다닌다. 손드하임 특유의 재치넘치는 가사에서 불멸에 대한 그녀의 갈망이 드러난다. 


Well, if you want bread 배도 부르고

And respect 존경과

And attention 관심도

Not to say connection 연줄도 갖고 싶다면

Modelling’s no profession 모델일은 할게 못돼.


하지만 닷은 조지의 천재성을 알고 존경하고 있다. 바로 거기서부터 그녀의 열정이 흘러나온다. 리듬이 바뀌면서 길고 낭만적인 구절에 닷이 자신의 동경을 얹어 부르는 데서 있다. 


All it has to be is good. 뛰어나기만 하면 돼.

And George, you’re good, 조지 당신은 뛰어나.

You’re really good. 정말이야. 


조지의 예술을 흠모하는 마음을, 닷은 스스로 깨닫는다. 조지의 놀라운 그림세계를 보여주려는듯 물결이 치는듯한 부드러운 코드로 반주되는 화음이 바뀌면서 닷이 노래한다. : “그치만 무엇보다도, / 당신의 그림이 좋아…” 잔물결이 이는듯한 색채는 아름다우면서도 불안하다. 조지 안의 예술가를, 닷은 사랑하면서도 미워하고 있다. 

곡에서 관객은 천상의 세계로 빨려들게 되고, 예술가의 집착과 모델의 불만과 매력에 대해 알게 된다. 아주 정확하고 경제적으로. 무대와 관객간의 감정이입 계약서가 체결되었고, 관객은 이제 쇠라, 손드하임, 그리고 라파인이 창조한 세계를 거닐 준비가 되었다. 

공원 구석구석에서 크고작은 사건들이 일어나는 동안, 음악은 광란하듯 돌아간다. 많은 , 질감과 형태를 덧입히면서. 음악적, 시각적 아수라장이 극에 달할때 즈음 쇠라의 초기작 하나인아스니에르의 물놀이 활인화로 표현되어 무대에 등장한다. 조지가 팔을 뻗어 그림을 얼리기 전까지 그림속 인물들은 시끄럽게 상스러운 소리를 쏟아낸다. 공원이었던 공간은 순간 기적처럼 미술관으로 변한다. 어느정도 성공은 했지만 뛰어나지는 않은 예술가인 줄스가 부인 이본과 함께 걸어들어와 그림 앞에 선다. 

일정한 간격으로 이어지는 오스티나토[각주:3] 반주 위에, 줄스와 이본 부부는 그림에 너무 깊이가 없다는 감상을 늘어놓는다. 이들이 그림을 상대로 보내는 안일한 웃음, 냉소적인 격언은 손드하임 본인도 받았던 평가이다. 


줄스:

It has no presence. 존재감이 없어


이본:

No passion. 열정도 없어


줄스:

No life…. 생동감도.


이본:

So drab, so cold. 생기 없고, 너무 차가워.


줄스:

And so controlled 너무 통제되었어. 


함께:

No life. 생동감이 없어. 


줄스:

His touch is too deliberate, somehow…. 붓질이 어쩐지 너무 의도적이야…

All mind, no heart. 생각 뿐이지, 감정이 없어

No life in his art. 그의 예술에는 생명력이 없어


이본:

No life in his life- 그의 삶에도 생명력이 없어


함께:

No- Life. 없 - 어. 


예술가의 지성과 복잡성을 묵살하는 애정어린 말들이 담긴 개요서(노래 No Life), 손드하임은 자신을 시기해서 욕하던 이들을 교묘히 풍자하고 자신만의 미학적 기준을 세운다. 창작자와 인물의 정체는 확실하다. 트집잡는 말들은 불쾌한 인상으로 마무리되며 인물들의 심술궂은 면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장면의 마지막 한마디를 할 수 있는 기회 비평가들에게 돌아가지 않는다.  활인화 그림이 무대 밖으로 퇴장하기 , 그림 안에 있던 소년이 야유를 보내는 소리가 장면의 진짜 마지막이다. 

조지는 작업실로 돌아오고, 작업중인그랑자트섬의 일요일 부분부분 보이는 커다란 배경막 뒤에서 열광적으로 작업한다. 역시 바쁘다. 조지가 캔버스에 물감을 칠하는 리듬에 맞춰 닷은 쇠라의 또다른 작품 La Poudreuse( 바르는 여인) 생각나게 하는 모습으로 화장대에 앉아 여기저기에 분을 바르고 있다. 손드하임은 반주에 피지카토 리듬을 넣어 조지와 닷의 점묘법 기술을 반영하고 있다. 조지의 열정이 점점 커지면서 손드하임의 가사들은 뚝뚝 끊어진다. 한점 한점에 사로잡힌 예술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캔버스에 색을 입히면서 색의 이름을 얘기하고, 콧노래를 부르며 맥주도 모금 마신다. 조지는 이렇게 강렬한 창조의 황홀경에 빠져간다. 조지가 열정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은, 내적 고요와 균형을 이룬다. 그는색채와 이외에 어떤것도 존재하지 않는 그만의 마법세계에 들어간 것이다. 


20170627. to be continued



  1. 연출가 해롤드 프린스와 함께 작업했던 시기의 마지막 작품이자 손드하임이 ‘자전적인 이야기가 들어가있다’고 인정하는 유일한 작품으로, 작곡가, 극작가, 소설가를 꿈꾸는 세 친구가 등장하는 뮤지컬이다. 이야기는 1970년대부터 50년대까지 시간을 거스르며 진행되는데, 초연때는 관객들이 이야기를 따라가는 걸 너무 어려워해서 결국엔 캐릭터 이름을 박아넣은 티셔츠를 입혀 공연을 해야 했다고. (역주) [본문으로]
  2. 손드하임은 전작들에서 ‘흥얼거릴만한 멜로디가 없다’는 평가를 자주 받았었다. Merrily에는 이를 비꼬는 장면이 살짝 들어가 있는데, 다큐멘터리 Six by Sondheim에서는 손드하임 본인이 프로듀서로 깜짝 연기를 선보이며 Darren Criss가 연기한 어린 작곡가 프랭크에게 그 대사를 한다. (역주) [본문으로]
  3. 어떤 일정한 음형(音型)을 동일 성부(聲部)에서 반복하는 것 [본문으로]
혼자 보기 아까운 기사가 있어 번역해봤습니다. 

원문은 아래에 링크 걸어두었으니 사진과 영상, 다른 기사도 즐기셔요-

[PLAYBILL.COM]Into the Woods Like You've Never Heard It: How a New Sound Was Created Off-Broadway
기사 원문
(click to read the original articl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플레이빌닷컴]새롭게 들어보는 <숲속으로>: 오프 브로드웨이, 새로운 소리의 탄생기


글: 마이클 죠이어(Michael Gioia)
2015년 2월 6일


피아스코 극단은 마법에 걸린 숲을 헤쳐나가는 새로운 길을 만들었다. 이 작은 극단이 제작한 손드하임/라파인의 뮤지컬 <숲속으로>는 서서히 유명세를 타더니 이제는 라운드어바웃시어터컴퍼니와 손을 잡고 오프 브로드웨이까지 진출했다. 그들이 만들어온 길을 한번 따라가 보자.

*


이 인터뷰를 마칠 즈음에 음악감독 맷 캐슬이 벤 스타인펠드(피아스코 극단 공동 예술감독. <숲속으로> 공동 연출자이자 빵집 주인 役)를 보며 이렇게 말했다: 피아노에 대해서 하는 얘기를 듣다 보니 네가 Bakers Reprise에서 부르는 ‘내가 망토라면 망토가 되는거야, 그거면 돼 (A cloak is what you make it, so you take it[각주:1])’ 라는 가사가 떠올랐어. 다 그런 거 아니겠어? 딱히 인식하고 있진 않지만 우린 다들 그렇게 살고 있는 거야. 

이 두 남자와 제시 오스트리안(피아스코의 공동 예술감독이자 빵집 주인 아내 役), 그리고 제니퍼 머지(마녀 役)는 <숲속으로>의 새로운 소리와 느낌을 어떻게 만들어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막 마무리하던 차였다. 이 프러덕션은 2013년 뉴저지의 맥카터 극장에서 초연했고 샌디에이고의 올드 글로브 극장 무대에도 올랐다. 장난감과 상상 놀이를 활용한 연출로 극단은 완전히 새로운 숲을 창조해냈다. 관객은 상상력을 발휘해야만 작품 안에 숨겨진 마법을 보고 들을 수 있다.

오프브로드웨이 로라 펠스 극장에 들어간 순간, 관객은 마치 피아노 안에 들어선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굵은 줄을 여러 개 쳐서 배경막을 만들었고, 실제 피아노에서 들어낸 피아노 하프(=프레임+현. 피아노 내부 구조물. 우리말에는 이 부분을 뜻하는 용어는 없는 듯)를 무대 양 옆에 줄지어 세워 두었다. (게다가 이 피아노 하프’에는 마이크가 설치되어 있어서 배우들이 치거나 긁거나 때릴 때 나는 소리가 극중 음향 효과로 쓰인다)

무대에는 열 명-피아노에 앉은 음악감독 캐슬까지 포함하면 열한명-의 *연기자[각주:2]들이 선다. 어중이떠중이 배우들이 사람들 모아놓고 나름대로 고전을 새롭게 해석해 보이는 자리 같기도 하다. (하지만 뭐, 자기들만 즐거우면 된다는 분위기다) 실용적이면서도 최대한 효과적인 공연을 위해 정교한 무대장치와 복잡한 음악은 다 걷어냈다. 이야기는 노래로 전달하는데, 노래는 뼈대만 남겨두었다. 동화속 각 인물을 대표하는 새로운 스타일을 만들어내기 위한 선택이었다.

극단의 공동예술감독 오스트리안의 설명을 들어보자. 초기 워크샵에서는 피아노 반주만 계속 들었어요. 음악에서 어떤 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지 집중했죠. 배우가 말하는 데에만 집중하는 건 정말 쉬운 일이에요. 대사와 가사 같은 것들요. 하지만 소리 안에 정말 많은 정보가 담겨 있어요. 우리는 손드하임이 어떤 구간에서 어떤 걸 표현하려고 했을지 생각해냈고, 맷은 그걸 단순하게 만들어서 관객에게 이야기로 전달하는 데 천재적인 능력을 발휘했죠. 어떤 것이든 이야기에 기반해서 결정하려고 최대한 노력했어요.

마녀 역을 맡은 머지가 한 마디 보탠다. “우리는 모두 음악을 통해 관계를 맺고 있어요. 빨간 망토는 장난감 피아노랑 한 쌍이고, 잭의 엄마는 기타와 밴조와 한 팀이죠. 매일 무대에 서면서 느끼는데도 늘 재미있어요. ’(소리만 듣고도) 아, 이건 잭네 가족 테마곡이군’ 뭐 이런 식인 거죠. 거기 다 들어 있어요, 그런데…"
“그건 그들의 작은 세상의 한 부분이죠. 음악감독 캐슬이 마무리를 지으면서 자신도 모르게 “Our Little World”라는 노래 제목을 인용한다. 이 곡은 <숲속으로> 런던 초연때 추가된 곡으로, 마녀와 라푼젤을 나머지 세상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곡이다. 보통 이 곡을 생략하고 공연하는 경우가 많은데 피아스코 극단은 이 곡을 사용했다.

동화마다 작은 세상을 만드는 것은 이들이 초기 워크샵부터 고집해온 부분이다. 오스트리안은 “프롤로그에서 나오는 세 가지 장소를 무대 중앙에서 한꺼번에 연출하고 싶었어요흔히들 세트를 세 개로 나누어 진행하지만, 우리는 어떻게 하면 각자 다르게 들릴 수 있을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죠.” 라고 말했다.
예를 들어, 잭과 그의 어머니의 경우엔 이런 식이었다고 한다. 이 가족은 농장을 운영하고 있어. 우리가 마침 블루그래스 악기를 좀 다룰 줄 아는데, 한번 그냥 이걸로 해보면 어떨까?"

피아스코 극단은 각 동화마다 동기(motif)를 새로 만들었다. 잭과 잭의 어머니에게는 블루그래스/어쿠스틱한 소리를 주었고, 신데렐라의 새들은 공기를 가르며 휘파람을 분다. 장난감 피아노 소리가 나면 빨간 망토가 등장하고, 빵집 주인은 가끔 기타를 들고 나타난다.

마녀 코드 얘기 해야지! 오스트리안이 캐슬을 부추겼다.
“아, 이 코드는 마녀랑 관련되어 자주 등장합니다. 마녀가 등장해서 누군가에게 겁을 줄 때, 이 소리가 나죠. 설명에 이어 캐슬은 마녀 모티브를 연주했다. “사실 작품 여기저기에서 굉장히 자주 등장하는 코드에요. 그런데 보시다시피 전 손이 두 개 뿐이라 기본 반주 하기도 바빠요. 손가락이 모자라죠. 그래서 기타로 표현해볼까도 생각했어요. 그런데 코드에 음이 너무 많아서 기타로는 안되겠더라구요. 그래서 다같이 고민을 했죠. '우리가 뭘 할 수 있을까? 이 음들을 연주하도록 고안된 오토하프가 있으면 어떨까? 그리고는 바로 일을 벌였죠. 우리는 오토하프를 구해왔고, 필요한 음만 연주할 수 있도록, 오토하프 안에 있는 펠트 천을 손수 잘라냈어요[각주:3]. 진짜 멋있어요. 아무리 험한 태풍이 와도 이 오토하프로 다른 소리를 낼 수는 없을걸요? (너무 의역했나...그냥 튼튼하다는 뜻인가)

하지만 오토하프를 비롯해서 소리내는 수많은 물건들을 어떻게 구해온 걸까? 오스트리안에 따르면 맥카터 극장 소품실에서 한 보따리, 음향 디자이너 대런 웨스트가 또 한 보따리 가져다 주었단다. "탁자에 수북이 쌓였었죠"

워터폰은 대런이 가지고 왔어요. 음악감독 캐슬의 말이다.
워터폰이 대체 뭐지? 궁금한 당신을 위해 위키피디아를 활용하자면, 불협화음을 내는 어쿠스틱 타악기. 스테인레스로 된 울림통 혹은 원판에 실린더처럼 생긴 넥 부분이 달렸고 원판 주위를 따라 각기 길이와 굵기가 다른 구리 심이 박힌 형태의 악기”란다.
은 머지의 표현으로는 저기 있는 완전 간지나는 거 저거예요!”다. 머지는 (관객석에서 본 방향에서) 무대 좌측, 십여가지의 다른 악기들 사이에 끼어있는 워터폰을 가리키며 말했다. “<반지의 제왕>에서 나즈굴이 내는 소리 알죠? 그런 소리를 낸답니다. 캐슬이 다시 한번 설명을 해주었다.

2006년, 손드하임과 조지 퍼스의 액터-뮤지션 <컴퍼니>[각주:4]에서 연기자로 활약하기도 했던 음악감독 맷 캐슬은 이 프러덕션이 무에서 유를 창조해낸 것이라 밝혔다. 저작권 관리사인 Music Theatre International(MTI)와 작곡가 스티븐 손드하임, 작가 제임스 라파인은 피아스코 극단에게 피아노 반주만으로 하는 공연권을 허가해주었다. 단, 조나단 튜닉의 원래 편곡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캐슬을 비롯한 극단 단원들에게 이는 별로 큰 문제가 아니었다. 튜닉의 편곡을 일부만 이용하기에는 흐름상 맞지 않을 거라는 판단을 했기 때문이다. 리허설 초기에 단원들은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누가 뭘 연주하면 좋을지 발견해나가기 시작했다. 배우들이 내놓은 아이디어를 토대로 소리와 스타일이라는 살을 붙여나갔다.
어떤 배우들은 나 악기 한 열 개 정도 연주할 수 있어’ 라고 했고, 다른 사람들은 ‘난 연주할 줄 아는 악기가 하나도 없어’.” 캐슬의 설명에 이어 머지가 심벌즈를 쨍 하고 두드리며 끼어든다: “내가 바로 그 사람 중 하나였죠!”

손드하임과 라파인은 공연권을 허락해준 데 더해 이 새로운 컨셉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극단이 첫번째”와 “두번째” 자정 장면을 생략하기로 결정하고도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하자, 작가 라파인이 직접 조언을 해주기도 했다.

“연습할 때는 버젼이 엄청 많이 나왔어요. 다 시도해봤는데, 다들 너무 하고픈 얘기가 많아서 자꾸 우리 자신으로 돌아오는 거에요, 근데 각자의 사연을 토로하는 모습을 관객들은 이미 봤을거잖아요?” 머지의 말이다. “우리가 이야기를 하는 방식에 있어서 이 부분은 사족일 뿐이었죠…”
순서도 바꿔봤던 거, 기억 나?” 캐슬의 말이다.
오스트리안이 받아 말한다. 맥카터 극장에서 프리뷰 공연을 할 때에는 몇가지 시도를 해봤어요. 근데 제임스 라파인이 와서 공연을 봤죠…” 라파인의 조언은 다음과 같았다: "그냥 빼!"

맥카터와 올드 글로브 극장에 이어 <숲속으로>는 1월 22일, 오프 브로드웨이에 도착했다. 그동안 불변의 진리였던 <숲속으로> 공연 스타일에 새로운 시선을 더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얻고 있다.

“'폭발한 피아노'라는 컨셉은, 우리 프러덕션의 중심에, 그러니까 물리적, 음악적, 감성적인 중심에 피아노가 있을 거라는 걸 안 순간 생겼어요.” 공동 연출인 스타인펠드의 말이다. “또 다른 이유는, 우리 음향 디자이너가 찾아낸 것 때문인데요, 사람들이 피아노를 버린다는 내용의 기사였어요. 우린 모두 그 이야기를 듣고 기분이 나빴죠. 트럭 뒤에서 밀려나는 피아노의 모습. 그 혼란과 파멸, 슬픔은 묘하게도 작품 안에 있는 죽음의 기운과 공명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죠. 어떤 물건이 내 삶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느냐에 따라 깊은 의미를 지니거나 혹은 아무런 의미가 없게 된다는 것도 말이죠. 그래서 (세트 디자이너) 데렉 맥클레인은 이걸 가지고 작업하기 시작했어요. 이 작품이 상대성과 관점, 그리고 세상에 대한 시각을 바꾸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기도 하니까요. 그게 우리의 감성적, 개념적 틀입니다.

“우리가 계획적으로 꾸며놓은 무대적인 틀은, 그러니까 그 수많은 물건들로 만든 무대는, 물려받은 것들에 대한 우리의 관심과, 어릴 적에 -우리같은 어른아이들은 현재 진행형이지만-뭔가 집어들고 그것에 의미를 부여해주면, 그 물체는 그 의미가 되는 거 있잖아요, 그걸 원했던 거예요. 100년이 넘은 물건들이 즐비한 이 기억의 다락방”에서 우리가 붙들고 싶었던 정서죠. 그 당시의 물건들은 여전히 남아있지만 사람들은 다들 사라졌죠. 그 사람들이 우리에게 남긴 것들에 우리가 어떤 빚을 지고 있는지 찾아내고, 우리가 그걸 넘겨줄 때가 되면 어떻게 할 것인지, 그걸 찾아보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빵집 주인의 말처럼, 망토라면 망토인거야”, 그리고 피아스코 극단은 바로 그 말대로 했던 것이다.

(Playbill.com 스태프 기자 마이클 죠이어는 플레이빌 누리집의 뉴스, 특집 및 비디오 분야 뿐만 아니라 플레이빌 잡지에도 기고하고 있다. 트위터는 @PlaybillMichael.)


우리말 옮긴이_서지은(@shazslair)
수정할 거리 및 의견 교환 환영합니다 :)


  1.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에 우리는 의미를 부여해준다. 빨간 망토에게는 그것이 그냥 옷일 뿐이지만 빵집 주인에게는 '망토=아이' 이다. - 부연설명 by 내 친구 Hannah P. from NZ [본문으로]
  2. 역주: 글쓴이는 배우actor 대신 연주자player라는 단어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나는 ‘연기자'로 지칭한다 [본문으로]
  3. 역주:기사 원문의 마지막 페이지에 맷 캐슬이 나오는 짧은 영상이 있는데, 이 영상에서 오토하프에 대한 설명이 자세하게 나온다. [본문으로]
  4. 역주: 2006년 연출가 존 도일의 지휘하에 뉴욕에서 공연되었다. 배우가 악기를 맡아 연주하며 연기하는 액터-뮤지션의 형태로, 맷 캐슬은 당시 피터 役 [본문으로]
I came across this enlightening yet controversial poetry on the internet and wanted to share it with people do not speak Korean but are deeply concerned about this tragedy. I've granted myself the permission to put the words into English so please have a look.



You good fools
You who always obeyed words, you good children
When told to stay you've stayed
when told to wait you've waited
Whoever made you act that way, my dear children
Inside the school, the control, where the walls are already caving in,
whoever made you hesitate making a judgement...
Words of adults, words of teachers,
that all was going to be fine if you'd followed their words.
Because you trusted the adults, you remained calm to the very end
Heavy with tears, we cannot bear to hold up our faces....


by Nam-Joon Cho


(I doubt the author would mind, but just in case, don't write to him to talk about copyright issues...)


I hope that the nuance of this poetry has well been translated to you in my choice of words. 

For those of you who are curious about the comments underneath the picture, I can only say that they have misread the intention of the author. There is controversy around this poetry because people are interpreting the metaphor in the wrong way. Maybe because the press company Hankyoreh has always been critical about the current ruling party? (which is the conservative one, and I am very bad with politics, so I will not take this matter further into political level) I wouldn't know. 

But from my point of view, the stress of this poetry is not on the rights and wrongs of the actual moment of the evacuation. Although 'the adults' were the ones that made the decision to send the kids back into their rooms, the writer is not trying to put the blame on the crew nor the teachers because he knows for sure that their intention was for the best. And surely he did not mean that children at that moment should have stopped listening to adults and acted on their own and went out of control.

Some commented that the author is trying to put the blame on the adults in general for not being able to save them(which I believe have already been cleared of, by my account), or metaphorically to criticize the educational system and even further the current government. But have they really read this carefully? Can they say with confidence that they are not biased with the notion of this particular press? How can anyone ever even think that someone is trying to use these poor souls to do that? It is unbelievable, really, to see how much bias affects a person's way of thinking. 

I felt that the author tried to make an apology but could not bear to say the words, because words of apology will mean nothing to the already lost souls. And the 'fools' he is addressing are not only the students but the crews and teachers too. Not because they have not acted wisely but because they were innocent. We Koreans have been raised that way ever since I can remember. If not the parents, the school, the company, the society is constantly telling us; always to obey, never to talk back nor to raise a question. Control is yes, important to make things work, but in a suppressive environment like Korea, one can never be able to raise a hand for a different idea of his own whether they be right or wrong-even though they know that the leader's decision is wrong.


I am not the author and I am not writing this to depend him or anything. But I am sure that all he really wanted to do was to pay respect to the lost ones. So blame him for not have chosen the vocabulary more carefully, but please do not mistake the good intent.


팀 민친?

내가 손드하임옹 다음으로 가장 좋아하는 작사가.

깨알같은 재미를 주면서 감동까지 주는 이 곡의 묘미를 느낄 수 있길 바라면서, 부족하고 의역투성이지만 번역가사를 공개한다.

즐기세요-


(팀 민친에 대해 글을 쓰기 시작하면 한없이 길어질 것 같아서, 오늘은 일단 이 곡 가사번역만...)




Tim Minchin says : 

다음 곡은 사랑노래 입니다. 사랑은 첫눈에 반하는 거라는 근거없는 소리를 바로잡기 위해 써봤어요.
첫눈에 반하면 뭐 더 좋다나 어쨌다나.. 
근데 저는 첫눈에 일어나는 그 마음이 사랑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제 생각엔, 사랑이란 슬금슬금 다가오는 거예요.
이 곡은 그 스리슬쩍거시기한 느낌의 사랑에 대한 거예요.


You Grew On Me - Tim Minchin


You grew on me[각주:1] like a tumour
내 안에서 너는 점점 커져 가, 마치 종양처럼
And you spread through me like malignant melanoma
내 안에 퍼져나가네 악성 흑색종처럼
And now you're in my heart
이젠 심장까지 파고들었어
I should've cut you out back at the start
아예 처음부터 널 떼어냈어야 했어


Now I'm afraid there's no cure for me
이젠 어떻게 손을 쓸 수 없을 것 같아
No dose of emotional chemotherapy
아무리 많은 감정화학요법을 쓰더라도
Can halt my pathetic decline
불쌍하게 쇠약해지는 날 구할 수는 없어
I should've had you removed back when you were benign[각주:2]
아직 양성일 때 널 제거해야 했어


I picked you up[각주:3] like a virus
난 너에게 낚였어, 마치 바이러스처럼
Like meningo-fucking-coccal meningitis
수막염병할구균성수막염처럼
Now I can't feel my legs
반신불수가 된 것 같아
When you're around I can't get out of bed
네가 있을 땐 침대에서 일어날 수조차 없어


I've left it too late to risk an operation
수술 하기엔 이미 때를 놓쳤어
I know there's no hope for a clean amputation
절단수술 해도 가망이 없대
The successful removal of you
널 완전히 제거하고 나면
Would probably kill me too
나도 죽을거래


You grew on me like carcinoma
내 안에서 넌 점점 커져가, 마치 암세포처럼
Crept up on me like untreated glaucoma
슬금슬금 너는 다가오네, 치료하지 않은 녹내장처럼
Now I find it hard to see
눈이 점점 나빠지고 있어
This untreated dose of you has blinded me
치료를 안 했더니 난 눈이 멀었어


I should've consulted my local physician
동네 병원이라도 갔어야 했어
I'm stuck now forever with this tunnel vision
평생 이 좁은 시야로 고생해야 하게 생겼어
My periphery[각주:4] is screwed
내 말초신경을 말아먹었어
Wherever I look now, all I see is you
이젠 어딜 봐도 내 눈엔 너만 보이는 걸


When we first met you seemed fickle and shallow
처음 만났을 때 넌 변덕스럽고 얄팍해 보였어
But my armour was no match for your poison arrow
하지만 내 갑옷을 뚫고 너의 독화살은 들어왔지
You are wedged inside my chest
넌 내 가슴에 쿡 박혀있어
If I tried to take you out now I might bleed to death
널 지금 꺼내면 난 과다출혈로 사망할 수도 있어
I'm feeling short of breath
지금 숨이 좀 차네


You grew on me like a tumour
내 안에서 너는 점점 커져 가, 마치 종양처럼
And you spread through me like malignant melanoma
내 안에 퍼져나가네 악성 흑색종처럼
I guess I never knew
그동안 난 몰랐었지
How fast a little mole can grow on you
아주 작은 점이 얼마나 빨리 커질 수 있는지



번역/translation_서지은(@shazslair)

지적이고 로맨틱하면서 유머있는 나쁜남자! 팀민친 진짜 사람 미치게 만드는구만. 

다른 노래들도 짬 내서 번역해볼게요- 느낌 아니까.


(번역 고쳐야 할 부분 있으면 덧글 달아주세요-)

  1. grow on (someone) : 점점 좋아지다, 마음에 들다 [본문으로]
  2. benign : 사람이 상냥한, 유순한 종양이 양성의 [본문으로]
  3. pick somebody up : (성적인 대상으로) ~를 꼬시다[낚다] [본문으로]
  4. periphery : 주변, 주위, 외연(外緣), 표면, 말초 [본문으로]
말하지 못한 내 사랑 - 김광석 (작사/작곡 유준열)


The Unspoken Lover of Mine - Gwangseok Kim
(song and lyrics by Joonyeol Yoo)



말하지 못하는 내 사랑은 음~ 어디쯤 있을까 
The unspoken lover of mine...hmm, where could she be?
소리 없이 내 맘 말해볼까
Soundlessly shall I speak my heart?

울어보지 못한 내 사랑은 어디쯤 있을까
The uncried lover of mine, where could she be?
때론 느껴 서러워지는데
Now and then I feel the sadness.

비 맞은 채로 서성이는 마음에 
Into your heart, lingering in rain,
날 불러주오 나즈막히
beckon to me in a low whisper.

말 없이 그대를 보면 
Wordlessly when I gaze at you, 
소리없이 걸었던 날처럼 
as the day's soundless walk
아직은 난...
Yet, I am ...

가진 것 없는 마음 하나로 
All I have is a heart 
난 한없이 서있소 
Endlessly here I stand.
잠들지 않은 꿈 때문일까
Is it due to the sleepless dream?

지나치는 사람들 모두 
All the passers-by
바람속에 서성이고
wander in the wind.
잠들지 않은 꿈 때문일까
Is it due to the sleepless dream?

비 맞은 채로 서성이는 마음에 
Into your heart, lingering in rain,
날 불러주오 나즈막히
beckon to me in a low whisper.

내 노래는 허공에 퍼지고 
My song vanishes into the air
내 노래는 끝나지만 
Although my song shall come to an end

내 맘은 언제나,
My heart is always, 
하나뿐
peerless.


번역/translation_서지은(@shazslair)

거슬러 올라가다 보니 출처는 예전에 한 독일 블로그에 올라온 글인 듯한데, 어제 페이스북에서 보고 혼자 보기엔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서, 아주 오래간만에 녹슨 독어 실력이나마 발휘하여, 번역해봤습니다.

 

Vor einiger Zeit war in der Auslage eines Fitnesscenters eine Plakatwand ausgestellt, auf dem eine wahnsinnig gutaussehende Frau zu sehen war, die die Frage stellte:

„Willst du lieber ein Wal oder eine Meerjungfrau sein?“

 

말도 안되게 완벽한 외모를 자랑하는 여자의 사진이 묻는다.


"이번 여름에 당신은 인어공주처럼 되고 싶으십니까,

 아니면 고래처럼 보이고 싶으신가요?"


언젠가 본 피트니스 스튜디오 포스터의 홍보문구이다.

 

Man erzählt sich, dass daraufhin eine Frau, über deren äußeres Erscheinungsbild nichts Näheres bekannt ist, diese Frage folgendermaßen beantwortet hat:

 

이 외모 근처에 가지도 못하는 한 여성이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Sehr geehrte Herrschaften!

Wale sind immer von Freunden wie Delfinen, Robben oder neugierigen Menschen umgeben, haben ein reges Sexualleben und ziehen Kinder auf, die sie liebevoll stillen. Sie vergnügen sich ausgelassen mit den Delfinen, schwimmen den ganzen Tag herum und entdecken fantastische Plätze, wie Patagonien oder die Korallenriffe Polynesiens. Sie singen hervorragend und nehmen von Zeit zu Zeit die eine oder andere CD auf. Sie sind beeindruckend, liebenswert und werden von allen verteidigt und bewundert.

 

"존경하는 여러분,

고래는 항상 친구들과 함께 지냅니다. 돌고래, 물개, 호기심 많은 사람들이 고래의 친구죠. 고래는 마음껏 사랑할 수 있고, 또 넘치는 사랑으로 자식을 기릅니다. 돌고래들과 장난치고 놀면서, 파타고니아 폴리네시아의 산호초 같은 환상적인 곳들을 모험하죠. 고래는 어찌나 노래를 잘하는지 가끔은 CD도 녹음한답니다! 고래는 사랑스럽고, 놀라운 존재입니다. 모두들 고래를 좋아하고 보호하고 싶어합니다.

 

Meerjungfrauen gibt es nicht. Und wenn es sie gäbe, würden sie bei Psychologen wegen schwerer Persönlichkeitsspaltung Schlange stehen: Bin ich Frau oder Fisch? Sie hätten kein Sexleben weil sie die Männer töten würden, die sich ihnen nähern – das ist nun mal die Aufgabe von Sirenen. Sie könnten nicht einmal Kinder haben! Sie wären sehr bezaubern und grazil – aber einsam und traurig. Und zu guter letzt: Wer will schon einem Mädchen nahe sein, das nach Fisch stinkt?

 

인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만약 있다고 하더라도 다중적인 성격 때문에 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할지 모릅니다 : 나는 여자인가요 물고기인가요? '세이렌'의 이야기를 보면 아실 테지만 다가오는 남자들을 죽일까 봐 사랑도 하지 못 할거예요. 아이를 가질 수도 없을테고요. 인어는 물론 매력적이고 섬세한 존재입니다. 하지만 외롭고 슬프죠. 그리고 솔직히, 누가 생선 비린내 나는 여자에 가까이 가고 싶기나 하겠습니까?

 

Es besteht kein Zweifel: Ich wäre lieber ein Wal! PS: In unserer Zeit, in der uns die Medien weismachen wollen, dass die Dünnen schön sind, gehe ich lieber mit meine Kindern ein Eis essen, genieße ein Abendessen mit einem Mann, der mir gefällt und trinke Rotwein mit meinen Freunden.

 

그래서 나는 더 생각할 것도 없이 고래가 되겠습니다.

마른 사람이 아름답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대중매체를 보고 있느니 차라리 그 시간에 나는 내 아이들과 아이스크림을 먹고, 내가 사랑하는 남자와 즐거운 저녁시간을 보내고, 친구들과 와인을 마시겠습니다.

 

Wir Frauen nehmen an Gewicht zu, weil wir soviel Wissen in uns haben, das in unserem Kopf alleine niemals Platz hätte! Wir sind nicht fett – wir sind überdurchschnittlich gebildet!


우리 여자들은 우리 안에 굉장히 많은 지혜를 갖고 있기 때문에 무게가 나가는 겁니다. 우리 뇌는 지혜로 꽉 차서 더 이상 자리가 없으니까요! 우리는 뚱뚱한 것이 아니라, 평균 이상으로 지혜로운 겁니다.

 

Jedes Mal. Wenn ich meinen Hintern im Spiegel sehe, denke ich mir: Mein Gott, wie bin ich intelligent!“

 

매번 거울 속의 내 모습을 볼 때면 나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 "세상에, 나는 어쩜 이렇게 지혜로운지!"

 


 

재치있는 글이네요! 

평균 이상의 덩치(?)를 자랑하는 저이지만 유럽에 가면 '너 너무 아담하다'라는 소리를 듣곤 했는데 이제는 그것도 아닌가봐요. 

고래 몸매를 자랑스러워하는 것도 좋지만 건강에는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고래다웠으면 해요. 나는 건강한 사람이 좋습니다. 나도 건강해 보이고 싶고요. 그런데 건강해보이려면 건강해 지는 수밖에 없습니다. 건강해지려고 노력하면 내 몸은 탄탄해지고, 내 얼굴에 윤기가 흐르고, 볼은 발그레해집니다. 몸이 무겁지 않으니 마음이 편하고, 노력하지 않아도 미소를 달고 삽니다. 몸이 건강한 사람은 긍정적인 기가 흐르고, 주위 사람들에게 그 기를 전해줄 수도 있습니다. 

나는 고래는 아닌 것 같은데... 돌고래 정도는 되었으면 좋겠네요.  ;-)

여기까지 읽고도 기꺼이 절대로 '고래'가 되길 원하지 않는 분들, '마른 것이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분들 분명히 계시죠? 그렇다면, 모두, 건강하게 마르길 바라요. 어딘가 애처로워 보이는 인어보다는 그래도 사람에 가깝게 되는 게 좋잖아요? (아닌가? :D)


 Tony Awards                        

미국 극장 재단(American Theatre Wing)과 미국 극장/제작자 협회, 방송사 CBS가 공동 주관하는 상으로 이름은 미국 극장 재단의 회장을 역임했던 앙투아네트 페리(Antoinette Perry)를 기리는 의미에서 그녀의 애칭인 토니(Tony-사실은Toni)에서 비롯되었다. 1947년에 시작되어 매년 6월초 브로드웨이에서 새롭게 개막 상연된 연극과 뮤지컬 작품과 각 부문별 출연진, 스태프들에게 시상하는 무대 예술계에서 최고의 권위있는 시상식이다.

[조용신 (@nylong)]

 

2012. 6. 10. 8pm @Beacon Theater


토니상 시상식은 전세계 공연팬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연례행사이나 아쉽게도 우리나라에서는공중파고케이블이고심지어종편이라도이거방영해주면진짜좋을텐데방영되지 않는다. 예전에 일본방송을 통해 생방송을 했었고 그걸 녹화해서 소장하고 계신 분으로부터 그런 얘기를 들은 것 같은데 요즘도 일본 방송국에서 그런 멋진 일을 하는지는 모르겠다. 실시간 방송을 어떻게 보는지 등의 고급정보를 혹 알고 계시다면 제게도 귀띔 해주시길 ;)

 

실시간 방송이 아니라도 토니상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이 없진 않다. 방송중에 토니상 트위터 타임라인 (또는 해쉬태그 #TonyAwards-일반관객의 트위터 편파중계!)을 들여다보면 레드카펫 사진부터 실시간 수상소식, 수상소감까지 깨알같이 중계해준다. 그렇지만 아무래도 영어는 좀 불편하고, 토니상의 하이라이트인 오프닝공연을 포함한 뮤지컬/연극 축하공연 등의 영상을 볼 수가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렇지만 조금만 기다리시면, 혼자 보기 아까운 영상을 함께 즐기기 위해 일주일동안 HD 영상을 받는 수고를 마다않는 사람도, 논문같이 주석이 마구마구 달린 자막을 만들어내는 저같은 사람도 있으니, 토니상을 조금은 편하게 즐길 수가 있다.

 

지난달에 SEEYA에서 했던 첫 상영회때는 급한대로 축하공연 부분만 골라가며 자막을 붙였었는데, 그날 관객석에서 함께 찬찬히 보다보니 공연에 대한 설명이나 수상소감 등, 놓치기 아까운 부분이 많아서 이렇게 또 삽질을 해가며 논문형 자막을 만들었다. 아직 '완성'이라 하기에는 개인적으로 흥미가 없는 부분은 자막을 붙이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ver.1.5] 라고 이름붙이겠다. 이 버젼은 모비딕프로덕션의 MobyLab에서 진행했던 두번째 상영회(20120831)에 사용되었던 자막이다. 

 

돈 받는것도 아니고 누가 강제로 시키지도 않았으나 혼자 신나서 마구 주석 달아가며 만든, 편애가 느껴지는 저의 부족한 자막, 공개합니다.

 


The.66th.Annual.Tony.Awards.2012.HDTV.XviD-AFG.smi
(ver. 20120831)

 

토니상은 140분동안 진행되는데, 앉은 자리에서 모두 볼 여유가 없는분은 아래 타임라인을 참고해서 골라보시면 되겠다. (자막을 넣은 부분은 굵은 글씨와 밑줄로 표기해두었으니 참고하시길)

 

제 66회 토니 어워즈 감상회.pdf
(ver. 20120831)

 

아무쪼록 즐겁게 봐주셨으면 좋겠다. 

궁금한 부분이나 수정해야할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shazslair 로 멘션 날려주시길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