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틀에 팽팽하게 고정시켜둔 천에 글줄과 음악줄이 바삐 오가며 그림을 그려나간다. 바깥의 여백이 더해지면 더 아름다우리.
(가야십이지곡을 보고 왔더니, 말투가...)
한 마디로, 무대가 좁다. 한계 내에서 표현하려고 나름대로 애를 썼지만, 날개가 꾹꾹 눌려 접혀있는 새 같아서 안타까웠다. 더 큰 무대에서 만날 날을 기대한다.
창작자들은 관객에게 쥐어줄 실타래를 풀어내는 리듬을 잘 짠 것 같다. 캐릭터의 행동에 대한 의문이 들 때마다 노래가 있었다. 신탁을 받아 길을 떠나는 우륵의 내면적인 갈등을 노래로 풀지 않았더라면 우륵이라는 인물에 공감할 수 없었을 것이다. 관객은 인물에 감정이입을 하며 관극하지만, 자신의 생각과 다른 행동을 했을 때 그 의문이 풀리지 않으면 이야기를 따라가기 거부하고 뒤에 남는다. 게다가 신이라던가 운명이라는 말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나로서는 시작과 동시에 물음표를 던져대기 바빴다. 하지만 노래가 나를 달래주었다. 결국 우륵은 나고, 내가 우륵이다. 나에게만 들리고 보이는 신탁. 신탁은 선택이라는 이름으로 스스로 내린 운명, 굴레. 이 길을 가고 있는 나는 나 자신을 탓할 수밖에 없다.
'소리를 모으러 떠나는 여행'에서 단연 중요한 것은 소리이다. 열두줄 금을 그저 소품이 아닌 하나의 캐릭터로써 극 안에서 활약하게 한 것, 그리고 니문과 소율을 구하고 사다함의 칼을 이긴 그 소리를 우리에게 들려주지 않은 것은 창작자의 좋은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 공연을 본 다른 친구는 그 부분이 공허했다고 말했지만, 나는 그 가야금 소리가 귀를 통해 듣는 것이 아니라는 말을 역설적으로 하려는 게 아닐까 생각했다. 물론 '무언가 빼먹은 듯한' 느낌이 들었던 건 사실이다. 하지만 니문도, 소율도, 심지어 사다함도 독백의 형식을 빌어 '그 음악의 힘'을 증언한다. 머리로 이해하기는 했지만 마음으로 느끼지는 못했다. 그럴 여유를 주지 않은 채 이야기가 진행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연출이 아쉬웠다. 작은 무대에 적은 예산, 인원과 소품을 활용할 수밖에 없는 것은 알지만, 인물들의 감정선까지 전부 수신호로 운영한다는 느낌이었다. 깔끔하게 담긴 일본식 도시락 세트에, 조금씩 간이 덜 되어있는 것 같았다. 무슨 의도인지는 알겠는데, 나는 더 강렬한 맛을 원했다. 눈물을 흘리고 싶었다. 배우에게 사이를 연기할 여유를 주면 어떨지.
본 날에 바로 썼지만 새벽까지 이어지는 생각에 지우고 또 지우고... 그러다가 사실이 기억속에서 뒤틀렸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그 느낌은 마음자리에 은은하게 남아있다.
'Reviews > 공연을 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샤쯔가 본 : 뮤지컬 <라 레볼뤼시옹> (0) | 2012.01.05 |
---|